용인형 주민자치회를 준비하자 (2)

수지 동천동, 자치준비단 구성 활동
마을자치학교 운영 등 자치교육 지속
 
주민자치회 시범동으로 선정된 수지구 동천동은 주민모임과 주민자치위원회 등이 참여하는 자치준비단을 구성하고 마을자치학교를 운영하는 등 주민자치회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 동천동자치준비단
주민자치회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주민참여기구다. 주민자치위원회 기능이 문화와 교육공간인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있다면, 주민자치회는 주민 생활과 관련한 사항을 협의하고, 지역 내 마을 의제를 발굴해 해결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선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

그런 점에서 용인시 주민자치회 시범동으로 선정된 수지구 동천동에 시와 주민자치회로 전환하려는 지역의 주목을 받고 있다. 동천동은 1년 전부터 주민자치회를 준비해왔다. 주체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아닌 다양한 주민모임과 주민자치위원회 등이 함께 참여하고 있는 동천동자치준비단(아래 준비단)이다. 시범운영이지만 내년부터 시행될 주민자치회 제도가 지역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그래서 그 역할을 12월 19일로 예정된 주민총회까지로 한정했다.

주민자치회 출범을 위해 준비단은 그동안 ‘주민이 함께 쓰는 버킷리스트’, ‘마을자치학교 우리마을 문제해결 프로젝트’, 마을자치학교 특강 등을 진행해 왔다. 동천동과 고기동에 무엇이 필요한지, 무엇이 바뀌면 좋은지 등을 제안해 해결 방안을 함께 찾아보기 위해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찾아가는 과정 공유에 대한 의미도 있다. 이같은 일련의 활동은 주민자치회로 가기 위한 ‘자치’와 ‘참여’ 활동이기도 하다.

자치단에 참여하고 있는 정경심 동천동마을네트워크 대표는 “주민 스스로 자치를 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주민들이 자치를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며 “주민자치는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한다”고 말했다. 주민 스스로 마을에 대한 문제의식이 마을자치의 첫 걸음이라는 의미다.

주민자치위원회와 주민자치회를 비슷하거나 동일시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그래서 주민자위원회를 주민자치회로 전환하는 것쯤으로 이해한다. 이로 인한 갈등도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준비단장을 맡고 있는 이보영 전 동천동주민자치위원장은 이와 관련, “주민자치위원회 활동을 감안하면 주민자치위원회 입장에서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동천동은 옥상텃밭이나 마을 장터 등을 준비단과 위원회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등 내용과 취지를 공유하며 함께 해왔다”고 말했다.

주민자치회를 준비하는 동천동 모델이 다른 지역과 다른 점이다. 하지만 동천동자치준비단 역시 그간의 과정이 녹록치만은 않았다. 마을 자치를 실현하기 위한 주체인 주민들의 참여에 대한 고민 때문이다.

정경심 대표는 “마을자치학교 참여자는 대략 40여명 정도로, 동천동에는 크고 작은 주민모임이 있지만 참여는 한정적”이라고 전했다. 원인은 무엇일까? 참여할 수 있는 고리가 없었다는 것과 일상의 문제로 들어가지 못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전국적으로 110개 시·군·구 626개 읍·면·동이 주민자치회를 운영하고 있지만 성공적인 사례가 많지 않은 이유라는 게 정 대표의 설명이다.

동천동이 용인형 주민자치회 모델이 될 것이란 기대에도 불구하고 준비단 측은 지역 특성과 환경에 맞게 준비하고 운영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동천동처럼 주민모임과 주민자치위원회가 주민자치회 준비의 주체가 된 곳이 많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파트 중심의 동천동과 전원도시 중심의 고기동이 혼재돼 있다는 특성을 감안하면 동천동은 다른 읍·면·동이 시선을 받기에 충분하다.

이보영 단장과 정경심 대표는 “주민자치위원회와 관계가 원만해야 하며 참여의 주체자들이 다른 단체와 함께 해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기존 주민자치위원회의 관성과 단절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방식에 의한 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전제되지 않으면 자칫 무니만 주민자치회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