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꼬지는 포곡면 전대리에 있는 마을이며 돌꼬지는 원삼면 문촌리에 있는 마을이다. 앞꼬지는 앞곳이, 압고지 등으로 발음되는데 한자로 전관(前串)이라고 쓰며, 돌꼬지는 돌꽃이, 돌곳이 등으로 발음되며 한자로는 석화지(石花池)라고 쓴다. 위의 두 이름은 본래의 뜻은 ‘고지’라고 하는 한 가지에서 나왔으나 한자로 옮겨 쓸 때의 표기방법은 다르다.

앞꼬지는 본래 가실리의 앞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앞곳이라고 불렀다고 연혁대장에 기록되어 있다. 또 마을에서는 한자로 쓸 때 전관(前串)이라고 쓰기도 하나 전곳(前串)이라고 쓰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으며 두 표기가 혼용되고 있다. 이중 전곳이라고 부를 때 전은 앞전(前)이라는 글자를 그대로 사용했으나 ‘곳’은 순수한 우리말 표기이다. 즉 우리말로 곳이라고 쓰고 한자로 관(串)으로 쓰는데 이는 곳을 꼬지로 생각하여 꿰었다라고 하는 뜻을 가진 관(串)을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표기방법은 매우 독특한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말 표기를 그대로 쓰고 표기는 한자로 쓴 예는 지명을 표기하는 경우에 가끔 보인다. 다시 말하면 앞 고지는 한자로 옮기면 전관(前串)이라는 식으로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전곳이라고 한자+우리말로 쓰고 표기는 한자로 하는 경우는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전대리의 행정리를 구분하는 마을 명칭에도 앞고지, 전관, 전곳이 모두 쓰이고 있다.

'곳, 이라고 하는 지명이 생기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바다나 평야로 뾰족하게 돌출 된 지형을 가리키는 말이다. 황해도 민요인 장산곳타령에서 등장하는 장산곳이 그렇고 요즈음 동해의 일출을 보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몰려드는 유명한 호미곳이나 장기곳 등이 한 예이다. 따라서 위에 말한 앞꼬지나 돌꼬지 등은 모두 평야로 돌출한 지형에서 비롯된 이름임이 분명한 것이다.

그런데 앞의 압꼬지의 경우와는 달리 원삼면 문촌리의 돌꼬지의 경우는 표기방법이 좀 다르다. 즉 돌꼬지는 돌+꽃으로 생각하여 석화(石花)로 옮긴 경우가 되는데 돌에 꽃이 피었기 때문에 돌꽃이라고 했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 이때 지(池)는 연못을 뜻하는 글자인데 아무런 뜻이 없이 가져다 쓴 글자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실제로 그곳의 지형을 살펴보면 지금도 바위가 작은 절벽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고 옆에는 작은 못(池)이 있어 물이 괴어 있으며 섬처럼 생긴 작은 바위를 볼 수 있는 등 아름다운 모습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데 지(地)가 아니라 지(池)로 쓴 충분한 이유를 느낄 만 하다.

돌꼬지와 더불어 덧붙여 말한다면 서울 성북구의 석관동(石串洞)의 경우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석관동의 지명유래를 보면 마을 동쪽에 있는 천장산(天藏山)의 한 맥에 검정 돌을 꽂아 놓은 것이 수수떡이나 경단을 꼬치에 꿰어 (串)놓은 것 같이 생겼기 때문에 돌곶이 마을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후 조선왕조 20대 경종의 능인 의능(懿陵)이 이곳에 안치된 뒤부터 능말(마을)로도 불렀다고 하는데 이후 돌곶이란 이름을 한문으로 표기하여 석관(石串)이라는 동명이 되었다고 한다. 즉 똑같이 돌꽃이, 또는 돌곳이라고 불리우다가 하나는 석관(石串)으로, 다른 하나는 석화지(石花池)로 쓰게된 것인데 이는 앞에서 소개했던 느진재와 느리재, 그리고 고분재와 곡돈현의 경우와 같은 예라 할 것이다.

/정양화(용인문화원 부설 용인향토문화연구소장)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