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 공개 전 이미 연구용역 최종 보고까지 거쳐 
“기존 시가 밝힌 ‘경제신도시’와 차이 뭐냐” 지적도

6월 열린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시장선거에 나선 당시 정찬민 후보와 백군기 후보가 각각 내세운 공약

2018년 4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시 정찬민 용인시장이 100만 대도시 용인시민이 100년 이상 먹고 살아가는데 도움이 될 경제신도시 건설을 공식화 시켰다. 당시 정 전 시장은 ‘용인 GTX 역세권 일원 개발행위허가 제한’ 조치 배경을 설명하며 기흥구 보정‧마북‧신갈동 일대에 100만평 규모 경제신도시 조성 계획을 밝혔다.

한 달 여 뒤인 5월. 당시 더불어민주당 용인시장 후보로 나선 백군기 현 시장은 ‘지역발전 5대 핵심’ 공약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GTX역세권 일원인 보정‧마북‧신갈동 일원에 4차 산업·창업밸리를 육성해 100년 용인 미래를 설계할 것이라는 내용의 용인플랫폼시티 건설도 포함돼 있었다.

6‧13 지방선거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았던 두 후보는 1달여 시간차를 두고 매우 흡사한 사업을 사업계획과 공약 형식으로 각각 발표를 이어갔다. 이에 정 전 시장에 대해서는 사업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며 선거를 앞둔 정치적 노림수 정도로 판단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기도 했다.

백군기 당시 후보가 공개한 플랫폼시티 건설 공약에 대해서는 정 전 시장의 경제신도시 사업을 따라 한 졸속 공약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백 후보 측은 지역주민들과 자문교수단의 논의와 검증을 통해 ‘용인플랫폼시티’ 공약을 구축해 낸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정찬민 후보 측은 “경제신도시는 용인시가 2015년부터 3년에 걸쳐 준비한 사업”이라며 “우리가 발표한 경제신도시와 위치‧면적이 너무 유사해 베끼기가 아니고 무엇”이라며 비난 강도를 더 높였다.

그로부터 5개월 후인 10일. 민주당 후보로 나서 당선된 민선 7기 백군기 시장은 임기 100일 만에 열린 언론인 간담회에서 플랫폼시티 사업을 다시 언급했다. 취임 이후 처음으로 가진 간담회인데다 시정 계획을 밝히는 자리로 이날 언급된 내용은 백 시장 핵심 사업으로 봐도 무방하다.  

백 시장은 플랫폼시티 계획을 언급하며 경기도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는 2035년 도시기본계획(이하 도시기본계획)에 반영됐기 때문에 차근차근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도 보도 자료를 통해 플랫폼시티는 보정·마북동 일원 100만평 부지에 첨단산업은 물론이고 쇼핑과 문화, 복지, 행정, 주거기능을 갖춘 복합도시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곳은 GTX용인역과 연계해 수도권 남부 최대의 교통허브로 조성하고, 인근 경찰대 부지나 마북연구단지 등과 연계해 시너지를 창출한다고 장밋빛을 덧칠했다. 

문제는 백 시장이 선거 공약으로 처음 밝힌 ‘플랫폼시티 구상 계획’이 실제 도시기본계획에 반영됐느냐는 부분이다. 용인시가 밝힌 2035년 용인도시기본계획 수립 정책실명 공개과제 사업 내역서를 보면 도시기본계획은 2015년 6월 착수보고회 결과 보고를 시작으로, 2017년 5월 계획(안) 공청회 결과보고, 같은 해 7월 경기도 승인 신청 보고까지 마무리 됐다. 이어  3월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결과 알림까지 진행됐으며, 현재는 용인시에 최종 보안을 요청한 상태로 확인됐다. 백 시장이 5월 플랫폼시티 공약을 공개하기 전 이미 도시기본계획은 경기도 승인 신청까지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시간상 백 시장 공약이 반영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기본계획이 사업명을 정해 구체적인 내용이 담기지 않고, 각 자치단체가 올린 계획은 수차례 수정 보안 과정을 뒤따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플랫폼시티는 용인시가 올린 기본 계획에 맞춰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즉, 플랫폼시티 계획이 도시기본계획에 반영된 것이 아니라 도시기본계획에 맞춰 플랫폼시티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의미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백 시장의 핵심 사업인 플랫폼시티가 경제신도시 사업을 이름만 바꾼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10일 열린 간담회에서도 일부 기자는 플랫폼시티는 민선 6기 경제신도시와 명칭이 바뀌었는데 그 차이가 뭐냐고 묻기도 했다. 이에 백 시장은 “한마디로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답하기도 했다. 게다가 용인시는 이 사업과 관련해 예산이 전혀 수반되지 않은, 즉 100% 민자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어 현실 가능성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