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하면 손상 이전으로 돌이킬 수 없어 예방 가장 중요

김성렬 교수
김성렬 교수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만성적인 기도 이상으로 호흡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은 특히 폐기종이나 만성 기관지염에 의해 발생하며, 호흡 시 날숨이 어려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만성폐쇄성폐질환은 2020년 전 세계 10대 사망원인 중 세 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질병이었다.

2019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0만 명이 이 질환으로 사망했으며, 국내에서는 2020년 사망원인 중 1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는 전 세계적인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을 고려했을 때 저평가된 통계일 가능성이 있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이 질환의 발병률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50년에는 세계 사망원인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60년에는 연간 약 500만 명이 이 질환으로 사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 등 환경적 유해 물질에 장기간 노출됐을 때, 이러한 물질에 취약한 사람에게 발생한다.

주로 40대 이후에 진단되며, 60대 이상 연령에서 더 흔하게 발견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가장 잘 알려진 위험인자는 흡연이지만, 유전자와 환경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든 흡연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흡연 이외에 직업적 노출을 통한 유기물, 무기물, 화학물질이나 가스 노출도 위험요인이다. 실내 대기 오염 물질이나 미세먼지 또한 이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외에도 사회경제적 수준, 출생 시의 체중, 어린 시절의 호흡기 감염, 청소년기의 폐기능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만성적인 호흡곤란이다. 또한, 약 30%의 환자에게서는 기침과 객담이 동반된다. 이런 호흡기 증상은 날숨이 어려워지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전형적인 현상이 발생하기 수년 전부터 나타날 수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치료와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주된 약물치료 방법은 흡입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흡입기는 약제를 직접 기관지에 투여함으로써 최소한의 약제를 이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흡입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환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적절한 흡입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금연, 재활치료, 산소 요법 등이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일단 발생하면 만성적인 기도 이상 상태가 손상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흡연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데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관련한 사망 중 약 80%가 흡연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기오염이나 화학물질에 장기간 노출을 피하는 것도 예방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미 10년 이상 흡연한 40세 이상의 사람은 금연하고 간접흡연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조기 진단을 위해선 폐기능검사를 통해 기류 제한(폐로 지나다니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는 현상) 여부를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적으로 유해 입자에 노출되고 있는 사람도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비흡연자라도 호흡곤란, 천명음(쌕쌕거리는 숨소리),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조기 진단을 통해 만성폐쇄성폐질환을 확인한다면 악화 요인을 피할 수 있으며, 상태에 따라 흡입기를 사용하여 호흡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폐 기능의 빠른 저하를 늦출 수 있으니 조기 진단을 통해 만성폐쇄성폐질환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