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2023년 사회조사 통해 본 용인시 코로나19 전후

용인시가 발표한 2023년 기준 사회조사는 코로나19 전후를 비교할 만한 수치가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더 있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인 2019년과 사회적거리두기가 종식된 2023년 용인시 변화가 담긴 것이다. 용인시 사회조사 결과 중 코로나19 여파를 이해할 수 있는 분야를 살펴봤다. /편집자 주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노후 준비는 잘되고 있느냐는 물음에 2023년 기준으로 용인시민 16.4%가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3.8%와 비교해 다소 큰 폭으로 줄었다. 반면 준비됐다고 답한 경우 역시 크게 늘었다.

2023년 기준으로 답변자 중 83.6%가 ‘노후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2019년 76.2%보다 높으며 경기도 평균 79.5%보다도 높다.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사적연금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은행이나 보험 등 개인연금은 2019년 21.9%에서 지난해 14.9%였다. 주식, 채권 등도 2021년 10.1%에서 지난해 5.4%로 대폭 감소, 노후 자금 목전 이전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현 거주지에 대한 소속감은 코로나19 기간에 오름세를 전환했다. 자료를 보면 용인시에 소속감이 있다고 답한 경우는 69.8%다. 2019년 65.4%, 2021년 66.7%와 비교해 꾸준하게 올랐다.

특히 소속감이 ‘매우있다’는 답변은 2019년 10.4%에서 16.1%까지 올랐다. 하지만 ‘태어나지 않아서 고향 같지 않다’고 답한 경우는 최근 201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 이에 대한 대응책도 필요해 보인다.

◇감염병 여파, 필요한 공공시설 ‘보건시설’ 늘어= 용인시민이 필요로 하는 공공시설 중 보건의료 시설 수치가 크게 올랐다. 사회조사 자료를 보면 용인시민이 가장 필요로 하는 공공시설은 2019년 이후 줄곧 공원, 녹지, 산책로가 1위를 차지했다.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보건시설 또한 뒤를 꾸준히 뒷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상황을 겪은 뒤 2023년 시민이 필요로 하는 시설 비율 중 보건의료 시설은 25.6%로 2021년 22.8%와 비교해 대폭 상승했다.

반면 공원 녹지를 바라는 수치는 2%가량 줄어든 것을 보면 코로나19 여파로 시민이 의료분야 공공시설을 크게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근 교통수단에도 감염병은 영향을 줬다. 용인시민이 통근에 주로 이용하는 수단은 승용차로 2019년부터 꾸준히 60%에 육박할 정도로 높다. 이어 버스와 전철 및 지하철 순이다. 버스는 조사마다 20%를 웃돌았지만 2023년에는 16%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앞서 조사인 2021년 21%와 비교해 5%가 줄었다. 이 수치는 전철(13.9%~16%)과 도보(6.5%~7.5%)로 흡수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무엇보다 승용차를 이용한다는 수치가 3% 이상 올라 감염병 여파로 밀집도가 높고 이용에 규제가 많았던 버스가 대중교통 대표 자리에서 밀리고 있는 상황까지 직면하게 됐다.

◇삶에 대한 만족도, 코로나 이후 상승률 둔화= 용인시민이 느끼는 삶에 대한 만족도는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 시국이던 2021년과 2022년 전체 만족도를 10단위로 나눴을 때 중간값에 해당한 4~6점을 준 비율은 각각 44.5%, 46%이던 것이 2023년에는 48%까지 올랐다.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만족도가 높은 9~10점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8.9%이던 것이 2022년 12.2%, 지난해에는 13.2%로 꾸준하게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평균값으로 보면 용인시민 삶의 만족도는 경기도 평균 6.2점보다 소폭 높은 6.3점이다.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지역별 격차다. 만족도가 중간값일 때 처인구는 59.2%인데 반해 수지구는 42%에 머문다. 이는 수지구에서는 매우만족한다에 더 가까운 3개 구중 가장 높기 때문이다.

용인이 불편한 이유에 대한 답변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변동 수치를 분석하면 의미 있는 해석이 나온다. 살고 있는 지역에 불만족한 이유 중 가장 우선에 둔 것은 교통이다.

이는 2019년 조사 이후 줄곧 최우선 순위였다. 하지만 세부 내용을 보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는 전체 답변 중 43.4%가 여기 해당했다. 하지만 감염병이 한창이던 2021년에는 38.6%로 큰 수치로 줄었다. 그만큼 대중교통 이용률이 줄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문제는 지난해 시민이 겪은 교통 불편 도는 46%로 최근 들어 조사한 결과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평균 35.9%와 비교해 크게 높다. 이는 코로나19로 겪은 교통 불편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여가 활동 회복세 코로나19 이전 웃돌아= 코로나19로 인한 이동 제한은 밀집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문화 공연 대부분은 축소되거나 취소됐다. 그만큼 시민이 즐길 수 있는 여가 활동은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가 종식된 2023년에는 이 같은 분위기가 어떻게 변했을까. 코로나 기간과 비교하면 회복은 물론 일부 종목은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용인시민이 가장 많이 즐기는 여가로 분류된 영화의 경우 2019년 89.2%가 관람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2021년엔 79.3%까지 떨어졌으며 이후 81.8%까지 올랐지만 기존세를 회복하지 못했다. 이는 감염병 외 영화관람 비용 인상 등 외부 요인도 더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영화 외 음악 연주회, 박물관, 미술관, 스포츠 분야는 관람도는 물론 관람 횟수도 이전과 비교해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거리두기가 막았던 일상이 풀리자 시민들이 활동도 많이 증가했다. 주말이나 휴일 여가활동 내역을 살펴보면 TV 시청 등 내부 활동 비율은 줄과 문화 관람, 관광 활동은 크게 늘었다.

특히 문화 예술 관람은 코로나19 기간 9.1%이던 것이 2023년 22.9%로 올라 2019년 17.2%를 앞질렀다. 관광 활동 역시 같은 기간 12.2%에서 17.3%로 올랐다. 반면 컴퓨터 게임은 26.2%에서 18.3% TV 시청은 51.3%에서 48.8%로 낮아졌다.

◇자녀 사교육률 더 늘었다= 자녀를 둔 초중고 가정은 사교육이 필수요소가 됐다. 그만큼 들어가는 비용도 많아질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자료를 보면 자녀가 있는 가구 중 ‘사교육을 받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94.2%에 이른다.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2018년 89.2% 이후 계속된 상승세를 보인 결과다. 비용은 가구당 112만 8천 원으로 2022년 106만8천 원과 비교해 6만 원이 더 늘었다. 1인당 비용으로 구분하면 2018년 56만 3천 원에서 5년여 만에 20여만 원이 올라 2023년에는 75만 원을 웃돌았다.

용인시 사교육 비율은 경기도 전체 평균과 비교해 다소 높다. 특히 학생 1인당 교육비는 도 평균보다 10만 원이 더 높다. 사교육을 받지 않는 이유는 ‘학교 수업만으로 충분하다’고 답한 경우가 크게 올랐다. 수치로 보면 2023년 29%이다.

2018년과 2022년 각각 10.6%와 17%인 것과 비교하면 코로나19 이후 학교 수업이 사교육에 주는 영향에 의미 있는 변화가 생긴 것으로 예상된다.

◇생활비 지출, 식료품비>주거비 순= 용인시민이 지출하는 생활비 중 가장 부담을 주는 부분은 식료품비 주거비 보건 의료비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료품비가 주는 부담은 코로나19와 비교해 크게 늘었다.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자료출처/용인시사회조사

자료를 보면 식료품비에 부담을 느끼는 비율은 2019년까지만 해도 18.5%이던 것이 지난해는 9% 가까이 올라 27.2%를 보였다. 이는 2021년보다도 3% 더 높다. 주거비도 같은 기간 4.8%가 상승했다.

반면 감염병이 한창이던 시국임을 감안했을때 지출 부담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보건의료비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가구 월 평균소득은 최저점과 최고점에서 변화가 다소 나타났다. 월 평균소득이 50~100만 원 미만이라고 밝힌 답변은 지난해 8.8%로 2019년 10.4% 2021년 12.3%에 비해 낮아졌다. 반대로 700만 원 이상 가구는 이보다 더 크게 늘었다.

2023년 기준으로 용인시 소득 있는 가구 중 20.2%가 700만 원 이상 소득이 있다고 밝혔다. 2019년 14.9%, 2021년 15.3%에서 상당폭 상승한 것이다. 그만큼 소득 격차가 심화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자리 늘었지만 일 못하는 여성도 증가= 일시 휴직을 포함해 용인에서 일을 한 경험이 있다고 밝힌 비율은 2013년 60.2%다. 경기도 평균 64.5%보다 낮다. 연도별로 보면 코로나19 시국인 2021년 53%보다 6% 이상 올랐다. 이는 2019년 54.8% 수준도 회복한 것이다.

‘일을 하지 않는다’는 답변 중 여성은 66.5% 2019년 이후 가장 높았으며, 도 평균보다도 높다. 반면 남성은 2019년 이후 가장 낮으며, 경기도 평균보다도 낮다. 종사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감소를 회복하지 못했다.

사무종사자와 서비스 종사자는 2021년 이후 2023년에는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강세를 보이는 직종으로 자리 잡았다. 경력 단절 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원인 중 지난해 많이 늘어난 부분을 보면 ‘가족돌봄’과 ‘폐업’인 데 반해 ‘육아’는 2019년 35.5%에서 지난해 28.6%로 줄었다.

출생률 감소, 중소기업 위기 등 코로나19 이후 사회변화가 용인에서도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주거·가족·사회관계 만족도 보통에 집중= 용인시가 특성항목 조사한 내용 중 용인시 전반적 만족도 중 주거와 가족 사회적 관계 만족도는 1년 만에 ‘만족한다’는 답변에서 ‘보통이다’로 수치가 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과 교통 분야 역시 만족도가 한 해 동안 ‘보통이다’로 빠져나갔다. 안전과 관련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한다’는 비율이 2% 이상 올랐지만 전체 만족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미르스타디움 활용 방안은 여전히 난제임이 수치로 드러났다. 지난해 ‘스타디움을 찾았다’고 답한 비율은 7.5%에 불과하다. 그나마 방문객 중 절반가량인 53.6%는 ‘만족한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처인구가 11.6%인데 반해 수지구는 2.8%에 불과하다.

저출생 대응책으로는 주거, 일자리 결혼 지원 정책(36.8%)이 가장 필요하며, 돌봄 및 교육 지원 정책(29.9%)이 뒤를 이었다. 직접적 출산 지원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에 대한 조사에는 ‘출산 장려금 확대’ 52.4%, ‘공공산후 조리원 등 인프라 확대’ 15.2% 순이다.

주거·일자리·결혼 지원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은 ‘월세 및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확대’ 54.7%, ‘청년 일자리 취업 연계 지원 강화’ 21.5% 순이다.

직접적 출산 지원을 위한 지원정책 중 ‘출산 장려금 확대’는 10대(62.1%), 주거·일자리·결혼 지원을 위한 지원정책 중 ‘월세 및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확대’는 30대(68.3%)에서 높게 조사됐다.

지난 1년 동안 책을 얼마나 읽었는지에 대한 조사는 종이책 ‘연 1~3권’ 29.9%, ‘연 4~6권’ 12.5%, 전자책 ‘연 1~3권’ 8.7%, ‘연 4~6권’ 3.9%, 평균 독서 활용 시간은 ‘30분 미만’ 45.2%,’ 30분 이상 ~1시간 미만’ 36.1%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 동안 읽은 종이책 중 ‘연 1~3권’의 응답은 10대(40.4%), 전자책 중 ‘연 1~3권’은 20대 (16.1%), 평균 독서 활용 시간 중 ‘30분 미만’은 10대(61.8 %) 등에서 높았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