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히 추위에 약한 필자는 겨울이 오는 것이 두렵다. 예쁘게 내리는 눈도 따듯한 실내에서 창문을 통해 보는 것이 좋을 뿐 굳이 나가서 차가운 눈을 만져보려 하지 않는다. 

누구에게 겨울은 반갑지만, 어떤 이에게 추운 겨울은 힘들다.
누구에게 겨울은 반갑지만, 어떤 이에게 추운 겨울은 힘들다.

온도변화에도 극히 민감해 따듯한 실내에서 추운 실외로 나가면 온몸이 떨려온다. 특히 상체 부분이 급격히 추워 잔뜩 웅크린 자세를 취하게 되고, ‘갈비뼈가 부서질 것 같다’고 말하는 것이 입버릇이 되었다. 아무튼 겨울은 좀 힘든 계절이다.

그나마 인간에게는 따듯하게 난방이 되는 실내 공간이 있어 겨울에도 춥지 않게 지낼 수 있지만, 야생의 동물들은 추운 겨울을 어떻게 보낼까? 겨울을 혹독한 시련의 계절이라고 하는데, ‘잘 버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아이들도 알 정도로 동물들은 겨울잠을 잔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동물이 겨울잠을 자는 것은 아니다.

겨울잠을 자는 대표적인 동물로는 양서류인 개구리와 도롱뇽 등이 있고, 파충류인 남생이, 자라, 뱀이 있다. 이들은 변온동물로 외부 온도에 의해 체내 온도가 영향을 받는다.

즉 추운 겨울엔 몸의온도가 내려간다는 말이다. 체온이 내려가면 생명 유지에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추운 겨울에 밖에 돌아다니지 않고 춥지 않은 곳, 땅을 파거나 굴을 찾아 들어가 숨어버린다. 어차피 밖에 못 나가니 ‘잠이나 자자’하며 겨울잠을 자게 되는 것이다.

변온동물과 반대로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동물을 정온동물 또는 항온동물이라고 하는데, 털이 있는 포유류나 조류 등이 이에 속한다.

포유류 중에 우리나라에 살고 있거나 살았던 동물을 살펴보면 곰, 고슴도치, 너구리, 다람쥐 등이 겨울잠을 잔다. 여우, 사슴, 토끼, 호랑이, 늑대 등은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같은 포유류인데 왜 이렇게 겨울잠을 자는 동물과 자지 않는 동물이 있는 것일까?

겨울잠을 선택하는 이유에는 추위도 있지만 먹이도 중요한 요인이다.

즉 겨울에 먹이를 구하기 힘든 동물들은 최대한 가을에 많이 먹고 겨울잠을 자러가고, 겨울에도 먹이를 구할 수 있는 동물들은 겨울잠을 자지 않고 먹이를 찾아다닌다.

달리 말하면 겨울잠을 자는 동물 중에도 먹이를 계속 공급받을 수 있으면 겨울잠을 자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같은 쥐 종류라도 일반적인 들쥐들은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또한 청설모라 불리는 청서도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그런데 귀여운 다람쥐는 독특한 겨울잠을 잔다. 다른 동물들처럼 겨우내 자는 게 아니라 잠깐씩 깨어나 먹을 것을 찾아먹고 다시 이어 잔다. 마치 배가 고파 잠에서 깨어 칭얼거리는 아이 같다.

그런데 이것은 어디까지나 우리나라에 해당하는 이야기고, 다른 나라에는 겨울잠을 자는 쥐들이 다람쥐 말고도 많이 있다고 한다.

겨울 철새들이 빙판으로 변한 저수지 눈 위에 선명한 발자국을 남겼다.
겨울 철새들이 빙판으로 변한 저수지 눈 위에 선명한 발자국을 남겼다.

털이 달린 동물 중에 조류, 즉 새도 있다. 새들은 겨울잠을 잘까? 새들은 다른 동물과 다르게 날개라는 것을 가졌다. 막히고 꺼지고 복잡한 땅 위의 길이 아닌 거칠 것이 없는 하늘 길을 다닌다.

그러니 추우면 날아가면 된다. 가만히 앉아 잠을 자기보단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택했다. 그래서 철새라는 습성이 생겼다. 좋아하는 온도를 찾아, 먹이를 찾아 글로벌하게 지구촌을 누비며 다닌다.

우리나라 겨울이 추운 여름 철새는 봄에 왔다가 겨울이 오기 전에 따듯한 남쪽으로 내려가고, 겨울 철새는 우리나라 겨울이 살만하다고 겨울이 시작될 때쯤 더 추운 북쪽에서 내려온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독수리도 겨울 철새이다. 바다 연안이나 저수지 등에서 엄청난 군무를 보여주는 오리류나 기러기류, 고니류 등 많은 새가 우리나라를 찾아와 겨울을 보내고 봄이 되면 떠난다.

이렇듯 각자의 방식으로 겨울을 보내는데 사람들은 어떻게 겨울을 보낼까? 우리의 겨울은 12월에 시작해 2월에 끝난다.

그동안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가 들어있다. 왜 일년의 시작인 1월이 겨울에 있을까 늘 궁금했다. 겨울은 모든 생명이 끝나고 마무리인 듯 보이지만, 그 속에 다시 시작하는 순간이 담겨있기 때문이 아닐까?

자연도 조용해지는 숙연한 겨울 풍경 속에서 끝과 처음을 생각하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는 겨울 아침이다. 겨울을 잘 보내고, 견디고, 버티고, 맞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