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RE100 시대로 간다

최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는 용어가 있다. RE100이다. 로마자 표기인 Renewable Electricity 100을 줄인 말로, ‘재생에너지 100’을 표현한 것이다.

평택 티센크루프머티리얼코리아에서 열린 산업단지 RE100 투자 협약식에서 참석자들이 협약식 서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평택 티센크루프머티리얼코리아에서 열린 산업단지 RE100 투자 협약식에서 참석자들이 협약식 서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의미는 지금까지 기업이 사용해 온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것으로, 2014년 영국 다국적 비영리 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에 내 걸었다. 이후 2021년 대한민국 대선에서도 언급될 정도로 국내에서도 시급히 도입해야 할 현안이 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21년 정부 차원에서 이 제도를 도입, 참여 기업을 중심으로 각종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자율성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어 아직은 도입 단계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방 정부 차원에서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는 관심이다. 경기도 역시 민선 8기 주요 공약에 RE100을 포함한 후 올해 4월 공공기관 RE100 실행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맞춰 재생에너지 100%화를 위해 경기도가 추진하는 사업을 분야별로 알아본다.

경기도는 김동연 지사를 필두로 지난 4월 경기도청에서 강금실 기후대사와 전의찬 공동위원장, 학계, 기업, 시민단체 등 다양한 분야의 민간위원과 함께 첫 번째 경기도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공공기관 RE100 실행계획을 확정했다.

공공기관 평가에 RE100 이행 여부를 비중 있게 반영할 계획으로 산하 공공기관 전체가 RE100 실천에 나서는 것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통틀어 경기도가 처음이다.

도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RE100 확산 추세나, 국내 기업들은 RE100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참여 및 이행률이 저조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맞춰 도는 2026년까지 도 산하 28개 공공기관이 소유한 모든 유휴부지, 옥상, 주차장 등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연간 13GWh(기가와트시) 이상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기로 했다.

태양광 패널 설치로 인한 도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도민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에너지 협동조합과 협력도 추진한다.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설치 조명등 전체(31만 9253개)를 LED 조명등으로 교체하고, 비효율적 에너지 소비행태 개선, 스마트 에너지 관리 체계 도입 등을 통해 에너지 사용도 줄여나갈 계획이다.

경기도 RE100 사업 홍보 누리집 갈무리.
경기도 RE100 사업 홍보 누리집 갈무리.

도 소유 공공 건축물(134곳)을 대상으로 에너지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단계적으로 건물 에너지 성능 개선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 밖에도 공공기관의 RE100 실천 의지를 독려하기 위해 올해부터 RE100 달성 정도를 공공기관이나 기관장 평가에 반영한다.

경기도는 공공기관 RE100 실행계획에 이어 산업단지 RE100, 농촌형 RE100 등 추진 방안을 차례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정부가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30.2%→21.6%로 하향 조정한 것과 달리 경기도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후퇴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당연직 15명과 도의원 2명, 민간위촉직 23명 등 40명으로 구성됐으며 총괄기획위원회와 함께 △공공혁신 규제합리화 △에너지전환 기업RE100 △도민실천 거버넌스 △녹색경제 산업혁신 등 4개의 분과로 구성돼 있다.

한편, 도는 탄소중립 실천의 일환으로 이날 회의를 △종이 없는 회의(태블릿PC 활용) △종이 컵·플라스틱 물병 없는 회의로 진행해 약 16kg·Co2eq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경기도는 RE100 비전 선포와 함께 기후변화주간 운영, 친환경기업 투자유치, 경기도체육대회 친환경 개회식 추진, 청사 내 일회용품 사용 제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인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 중이다.

2026년까지 50개 산단에 태양광 2.8GW 보급

경기도 4대 RE100 추진과제
경기도 4대 RE100 추진과제

경기도가 민간기업과 함께 도내 기업의 RE100 달성을 지원하는 ‘산업단지 RE100’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에는 8개 민간투자 컨소시엄이 참여하게 되는데 4조 원 규모를 투자해 2026년까지 경기도 내 50개 산단에 태양광 2.8GW(원전 2기 생산 전력량)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단지 RE100 사업’은 산업단지 내 공장 지붕이나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거기서 나오는 재생에너지를 단지 내 공장은 물론 외부 기업에도 공급하는 사업이다.

도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RE100을 실천하기 위해 협력업체에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요구하면서 국내 수출기업들에게 무역장벽이 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산업단지 RE100’을 적극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목표치를 하향한 가운데 이뤄진 이번 협약은 경기도가 대한민국 RE100을 선도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산업단지는 환경·민원·계통연계 등의 이슈에서 자유롭고, 도내 193개 산단 유휴부지 내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7.6GW(기가와트)에 이를 정도로 높아 RE100 달성에 효과적이며, 산단 입주기업의 탄소 규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도는 투명하고 합리적인 사업 진행을 위해 공모를 통해 에스케이이엔에스(SK E&S) 등 11개 사로 이뤄진 8개 민간투자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이들은 2026년까지 4조 원 규모를 투자해 경기도 내 산단에 태양광 2.8GW(기가와트)를 보급할 계획이다. 2.8GW(기가와트)는 원자력발전소 2기가 생산하는 전력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협약에 따라 8개 컨소시엄은 재생에너지 설치에 필요한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입주기업 지원과 부지발굴, 재생에너지 설치와 전력 생산 및 재원 조달, RE100 기업 지원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도는 행정절차와 부지발굴을 지원하고 RE100 공급과 수요 연결을 지원한다.

우선 올해 착수할 수 있는 산단 50곳을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하고 이를 도내 193개 산단 전체로 확대할 방침이다. 50개 산단을 4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선정된 2개 컨소시엄이 해당 지역에서 산단 RE100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8개 컨소시엄과 ‘경기 산단 RE100 추진단’을 구성해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해 지원한다. 8월부터 찾아가는 산업단지 간담회도 실시하고, 재생에너지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RE100 이행이 시급한 도내 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협약으로 RE100 대응에 고심했던 도내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확보가 쉬워져 수출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도록 지붕을 빌려주는 기업 역시 임대수익을 얻거나 지분투자 등을 할 수 있어 다른 산업단지들의 추가 참여도 예상된다.

50개 산단에 예정된 2.8GW(기가와트)의 태양광 시설 설치가 완료되면 지붕이나 유휴부지를 임대 해준 산업단지 내 기업들은 연간 총 1천억 원의 임대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21년 경기도는 전국에서 전력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반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력 소비량 2.5% 규모로 전국 평균 6.9%보다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기후 위기 대응 재생에너지 전환은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도내 산업과 기업 경쟁력 및 도민 삶의 질과 직결된 문제로 경기도 차원에서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게 됐다.

지구 온난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석유 등 화석연료 사용량에 따라 부과하는 탄소세가 부과되면 국내 제조업 중추인 경기도 경제는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

특히 주력 부문인 컴퓨터, 전자 및 광학 기기, 그리고 서비스업 부문 중 운송서비스업 생산 수요 감소 효과가 두드러져 국내외 탄소중립 규제 및 산업구조 변화에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 이는 도내에서도 산업 전반에서 상위권에 자리한 용인시가 귀담아들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경기연구원이 지난 11월 발표한 ‘재생에너지 전환 잠재력,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란 연구자료를 보면, 탄소세 톤당 50달러~100달러로 부과를 가정하면 경기도 산업 생산 유발 감소 효과는 최소 4조 217억 원에서 최대 이보다 두 배가량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부가가치 유발 감소 효과 역시 1조 4922조~3조 158억 원, 취업 유발 감소는 1만 4200에서 2만 8천 명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최악의 경우 도내 기업이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다른 지역이나 해외 이전이 이뤄지면 지역경제 황폐화는 불 보듯 뻔한 상황이 된다.

시군별 전력 소비량은 화성시, 평택시, 용인시, 파주시, 이천시, 등 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많다. 이들 5개 지역이 경기도 전력 소비의 47.7%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경기도 RE100 기업이 집적해 있고 평택, 화성, 용인 등에 집중되는 재생에너지 전력수요에 대응하는 공급능력을 갖추기 위해 인천시, 충남과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