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정태 센터장
10월 28일 용인 첫 인권문화제 개최

이동권, 접근권, 문화 향유권, 건강권 등은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 권리이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기본적인 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정태 센터장이 용인에서 열리는 첫 인권문화제 취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정태 센터장이 용인에서 열리는 첫 인권문화제 취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용인에는 인간이 누려야 할 기본권 확보를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울려 사는 지역공동체를 만들고자 나선 단체들이 있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대표적이다.

용인에서 처음으로 인권문화제를 준비하고 있는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정태 소장으로부터 이동권 등 장애인 인권 현실과 인권문화제 개최 배경에 대해 들었다.

동료 상담부터 탈시설, 장애인식개선 등 장애인 당사자가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체가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다. 김정태 센터장은 용인은 장애인이 생활하거나 독립적으로 사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고 지적했다.

“용인은 급격한 인구 증가로 도시는 커졌지만 이동권이나 접근권 등 기반시설이 취약한 실정이에요. 심지어 대의민주주의의 꽃인 선거를 관장하는 선관위조차 이동권과 접근권이 열악한 상태입니다. 장애인 당사자가 업무를 보기 위해선 선관위 관계자를 1층으로 불러 내려서 업무를 봐야 하는 실정이에요.”

선관위를 예로 들지 않아도 용인은 비슷한 대도시와 비교해 장애인 이동권이 열악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용인과 성남은 도시 면적의 차이가 크지만 교통약자이동지원차량은 비슷한 수준이다. 바우처택시가 들어오면서 많이 나아졌다곤 하지만 여전히 배차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저상버스 보급률도 낮은 수준이다.

김 센터장은 “저상버스가 확대되어도 경사로, 버스 정류장 등의 정비 없이 저상버스가 확대되면 문제여서 일제 조사가 필요하다”며 “도심만 벗어나면 버스정류장 표지판만 있는 상태인데다 안내 시스템도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화나 공연을 볼 수 없는, 편하게 식사하러 갈 수 없는 등의 문제는 결국 차별이라는 점에서 인권의 문제일 수밖에 없다.

비단 장애인뿐 아니라 아동, 노인, 임산부, 이주노동자 등도 사회에서 크고 작은 차별을 받는다는 점에서 인권은 모두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같은 문제의식에서 나온 게 10월 28일 동백호수공원에서 열리는 ‘2023년 용인 인권문화제’다.

김 센터장은 장애인의 권익과 권리를 대변하고 있지만 모두의 인권은 소중하다는 판단에서 인권문화제라는 이름으로 행사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인권은 인간으로서 당연히 가지는 기본적 권리인데, 주변을 보면 인권을 어렵고 무거운 주제로 인식하잖아요. 그래서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마치 나와 무관한 것처럼 인식해 외면하거나 침묵하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되는데요. 내가 만약 장애인, 아동, 임산부, 노인, 다문화가정, 이주노동자라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한 번쯤 가질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어요. 체험하고 느끼면서 인권이 이런 거구나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면 좋겠어요.”

용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문화제에 앞서 인권 감수성을 높이고, 우리 주변에서 쉽게 지킬 수 있는 게 인권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청소년 대상 인권 포스터를 공모하고 있다. 당선작은 ‘2023년 용인 인권문화제’에서 전시된다.

김정태 센터장은 “분명 인권은 무거운 주제이지만 주변에서 보거나 겪는다는 점에서 어렵지 않다”며 “인권문화제를 통해 서로서로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 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