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센터조차 수원·성남 비해 턱없이 부족
시립센터 설치 필요성에도 장소 찾지 못해
시 “면밀한 시장조사 필요”…계획 변경될 듯

2018년 성남시립도담청솔지역아동센터 개소식 모습

용인시가 시립지역아동센터 신설을 준비하고 있다. 아동돌봄 체계를 확대하고 더불어 공공성 역시 확보하겠다는 계획인데 장소 마련 등 넘어야할 산도 적지 않다.  

지역아동센터는 개인이나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며 저소득 초등학생 등 18세 이하 아동의 돌봄서비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개념의 시설이다. 최근엔 저소득층 아동에게 낙인감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일반 가정의 비율을 20%에서 40%로 높이는 등 일반가정의 이용 범위를 늘리고 아동돌봄 채널로서 역할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지역 지역아동센터 역시 시립으로 설치될 경우 기존 지역아동센터의 지원이 늘고 시설 확대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며 찬성 의견을 내고 있다. 용인시지역아동센터연합회 김승민 회장은 “용인시는 인근 수원이나 성남에 비해 지역아동센터의 수가 반 정도에 불과해 매우 부족한 수준”이라며 “시립지역아동센터가 생기면 전반적인 운영 수준과 체계가 마련되고 지원도 확대돼 민간센터에게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시립지역아동센터는 이미 인근 시군에서 도입해 운영 중이다. 성남시의 경우 2013년 분당구에 들어선 시립지역아동센터를 시작으로 현재 5곳이 운영되고 있고, 민간 지역아동센터 48곳까지 합치면 모두 53곳의 지역아동센터가 있다. 

수원시는 63개 지역아동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2018년엔 학교 내 빈 교실을 이용한 시립지역아동센터를 설치해 호응을 얻었다. 경기도교육청은 수원시와 협약을 체결하고 지역 소재 학교의 유휴시설을 시에 무상으로 빌려주기로 했다. 또 교육청 차원에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제공하며 운영의 내실을 높였다. 

이 같은 시립지역아동센터의 설치 필요성에도 시가 넘어야할 산은 적지 않다. 지난해 9월부터 시립센터를 추진해오고 있지만 아직 센터를 설치할 장소조차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립지역아동센터는 리모델링 비용과 기자재 구입비, 교사 인건비 등만 지원되는 만큼 최소 전용면적 82㎡ 이상의 유휴공간을 10년간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소이어야 한다. 여기에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나 용인시가 추진 중인 다함께돌봄센터와 겹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도 충족시켜야 한다는게 시의 설명이다.

민간 지역아동센터가 저소득층 아동 시설이라는 낙인감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한 채 일부가 정원을 다 채우고 있지 못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때문에 이르면 올 6월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추경에 시립센터 신설 예산 반영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던 시 역시 “좀 더 면밀한 시장조사가 필요하다”며 ‘계획 변경’ 의사를 내비치고 있다. 시는 지난달 23일 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용인시 지역아동센터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하고 시립센터 설치를 위한 근거 마련에 들어간 바 있다. 

이에 대해 연합회 김승민 회장은 “용인시는 인구의 증가에 비해 아동 돌봄 시설은 매우 부족한 수준”이라며 “그러나 속도보다는 방향을 찾는 것이 먼저다. 민간 지역아동센터와 시, 관계단체 등과 면밀한 논의는 물론 시가 의지를 갖고 추진하도록 시민들의 관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