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전락, 임금은 월 120만원 수준”
합창단 전담 인력 1명뿐 효율성 떨어져

용인포은아트홀에 위치한 시립합창단 연습실

용인시립장애인오케스트라 졸속 추진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립합창단 운영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합창단의 90%이상을 차지하는 비상임 단원이 월 150만원도 넘지 않는 임금을 받는가 하면 예산 부족으로 시 주요 행사 공연에도 오르지 못하는 등 시립예술단에 걸 맞는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용인시립예술단은 청소년예술단체인 시립청소년오케스트라와 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 먼저 창단돼 운영됐다. 보통 청소년예술단체는 비전문인으로 구성된 만큼 기존 시립예술단의 부설로 창단돼 운영되지만 용인은 이후 창단된 시립합창단과 같은 ‘시립예술단’으로 분류되고 있다. 시립예술단은 처음엔 시가 직접 운영해오다 2016년 7월 용인문화재단 소속으로 전환됐다.

이후 창단된 시립합창단은 용인시가 100만 대도시 대열에 들어서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정찬민 전 시장이 추진한 사업 중 하나다. 2017년 상반기 창단이 결정된 이후 6월 중순 상임단원 모집, 7월 비상임 단원 선정, 9월 창단까지 숨 가쁘게 진행됐다. 최근 졸속 추진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시립장애인오케스트라와 겹쳐지는 대목이다. 문화·예술적 필요와 이해에서 만들어진 예술단이라기보다 시장 치적에 이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시립합창단의 운영상 한계는 속속 드러났다. 먼저 비상임 단원에 대한 고용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됐다. 일반적으로 단원 전원을 상임으로 두는 타 지자체 시립합창단과 달리 용인시립합창단은 90% 이상을 비상임 단원으로 두고 있다. 용인시립합창단 비상임 단원 임금은 고정급이 없고 연습수당으로 회당 10만원, 정기연주회 출연비는 20만원, 찾아가는 공연은 10만원이 책정된다. 시립합창단의 한 비상임 단원은 “연습은 일주일에 3번, 매년 3회 열리는 정기연주회 외에 찾아가는 음악회 등은 단원 한 명당 1년에 3번꼴로 돌아간다”고 설명했다.

이렇다보니 매달 120만원 수준의 임금을 받는 상황에서 일부 단원들은 생활비 마련을 위해 다른 일을 병행하고 있다.

한 비상임 단원은 “8월에는 휴가다 뭐다 해서 연습이 줄어 월 80만원을 받기도 한다”며 “시립합창단을 부업으로 생각하고 일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이 단원은 “우리는 일용직이나 다름없다”며 “고정급이 없으니 아파도 일단 10만원이라도 받기 위해 쉬지 못하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비상임 단원들에게 고정급을 지급하지 않고 건당 수당을 지급하는 방식은 시립예술단에 대한 목적과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적은 예산만 가지고 운영하려는 데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다. 부족한 예산은 임금 책정 방식뿐 아니라 공연 횟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에서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식이나 현충일 기념식 등 시 주요 공식 행사에서 시립합창단 공연을 볼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시립예술단임에도 시가 아닌 문화재단에 운영을 일임하면서 전담운영팀 인력은 늘 부족한 상황이다. 문화재단 예술단운영팀은 현재 담당 팀장 외 각 예술단 업무를 맡는 인력 3명이 회계와 공연 계획, 단원 관리 등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이는 타 지자체의 1/3 수준으로 그만큼 전문성과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용인시의회 김진석 의원은 “시립합창단이 있음에도 시 행사 공연을 외부 가수나 민간단체에만 의존하는 상황을 어떻게 봐야하느냐”면서 “시립합창단은 공연비가 비싸서 시 행사에서 애국가도 못 부르게 한다는 말이 나오는 상황에서 시립장애인오케스트라를 무리하게 추진하는 게 과연 옳은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김희영 의원 역시 “시립합창단 비상임 단원의 고용 환경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립장애인오케스트라 역시 지휘자 등 몇몇을 제외하고 모두 비상임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에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