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위 구성, 민·관·학 거버넌스 구축해야
지역 인적·물적 자원 효율적 활용 필요
시 적극적인 참여·지원·홍보 역할 중요

용인시가 용인형 혁신교육지구 추진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먼저 그 첫 걸음으로 지난달 30일 용인시·교육지원청·시의회가 사업 추진을 위한 합의서를 교환했다. 
시는 앞으로 관내 학교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혁신교육지구를 위한 의견 수렴에 나서고 교육청과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예산과 추진방법 등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교육청 역시 지난달 말 학교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운영 방향과 타 지역 우수사례 공유에 나섰다.

혁신교육지구란 학교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지역교육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약으로 지정한 지역을 의미한다. 2011년 처음으로 시작된 혁신교육지구 사업은 올해 고양 안성 여주 평택시가 신규로 협약을 맺어 총 16개의 지자체(광명 구리 군포 부천 성남 시흥 안산 안양 오산 의왕 의정부 화성 등)가 사업을 벌이고 있다. 

◇추진위 구성, 독립 지원센터 구축 필요= 각 관계기관 합의서 교환으로 이제 막 첫발을 내딛은 용인시 혁신교육지구 추진 다음 단계는 지자체와 학교, 교육청 그리고 시민단체가 주체가 된 ‘추진위원회 구성’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타 지역 사례로 볼 때 각 영역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고양 혁신교육지구 지정 준비에 참여한 신능중학교 이상덕 교사는 관련 연구보고서를 통해 “지역 혁신교육지구 사업에서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교육혁신지구 정책 추진을 위한 전담팀 △교육혁신 지원센터의 실무추진단 △운영협의체 등의 구성 여부와 실효적인 운영 및 운영방식이 중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즉 지역 교육관련 시민단체와 교육전문가, 학교, 기관 등으로 조직된 추진위원회와 실무적인 역할을 할 독립 지원센터, 실질적인 운영을 위한 민·관·학 거버넌스 구축이 앞으로 1년 간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양시의 경우 지난해 11월 관계기관 합의서 교환 이후 올해 3월 혁신센터를 구축해 총 8명의 인력으로 독립된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 인적·물적 자원 활용해야=이 과정에서 지역 인적·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파주 혁신교육지구 추진 자문위원인 경기도교육청 윤귀호 위원은 “혁신교육지구는 마을교육공동체를 지향한다. 용인시의 경우 꿈의학교로 이미 많은 마을교육단체, 활동가들이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면서 “이 같은 인적 자원과 함께 교육 시민단체가 먼저 중심이 된다면 혁신교육지구 추진이 보다 쉬울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의정부의 ‘꿈이룸 배움터’ 사례는 꿈의학교가 혁신교육으로 발전한 대표 사례 중 하나다. 꿈이룸 배움터는 청소년 자율 동아리 등 소모임 활동을 시간·공간·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14년 민간 마을학교로 시작돼 2015년엔 꿈의학교로 운영됐고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된 2016년에는 본격적으로 사업의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 의정부시는 7월 ‘2018 한국의 혁신대상’ 교육혁신도시 부문 대상을 수상하면서 성공 지역으로 꼽힌다. 

◇시 적극 행정 지원, 홍보 역할= 시의 역할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의 시설과 공간 활용, 요구에 따른 연계와 예산 지원을 위해 행정력 동원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이외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홍보 부족은 초기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학부모와 지역사회, 교사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구성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도 과제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