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국지성 호우 발생… 계측지점 16곳 ‘부족’ 지적
시 "자료 공유 위해 행정기관 외 설치 사실상 어려워"

처인구청 별관에 설치돼 있는 오존.미세먼지 측정 시설

지난 16일 처인구 일대를 중심으로 하루 동안 평균 50㎜ 이상 비가 내렸다. 정확히 구분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용인 전역이 아닌 한정된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린 국지성호우에 가깝다. 특히 원삼면에는 90㎜ 이상 내렸다. 이날 일정시간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린 것을 감안하면 국지성 집중호우(5km 이내의 좁은 지역에 시간당 최고 80mm 이상 비가 내리는 것)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 비로 농경지가 침수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용인시에서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는 최근 들어 매년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8월에 내린 국지성 집중호우로 도로가 침수돼 심각한 차량 정체가 발생하기도 했다.
용인시가 밝힌 1970~2015년까지 용인시 강수량을 확인한 결과 여름 우기철 용인에 내리는 비가 45년 동안 3%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400㎜ 이상 내린 달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만큼 자연환경 변화로 재해가 발생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가 된다.

이에 당장 재해를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 강화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현재 용인시에는 강우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가 16곳에 설치돼 있다. 이중 11개는 행정구역이 넓은 처인구에 밀집해 있으며, 기흥구와 수지구에 각각 3곳과 2곳이 있다.

이에 시는 지역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흥 수지 권역에 5곳, 처인구에 1곳을 추가 설치할 예정에 있다. 용인시는 향후 계측지점이 22곳에 이르면 인근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밀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기대에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설치 장소 선정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용인시뿐 아니라 전국 대다수 강우량 계측기는 관공서 옥상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측정된 자료를 기상청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행정망과 연결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행정구역 면적이나 자연환경 특성 등을 감안한 자료보다는 관공서 주변 중심 자료가 취합되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기흥구청 한 관계자는 “용인 내에 읍면동 주민센터 대부분은 기후나 강수량 등의 특수성을 감안하기 보다는 땅값이나 행정적 필요성에 무게를 두고 만들어진 것”이라며 “최근 들어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데 지금 시스템으로는 자료 취합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우량 관련 계측 뿐 아니다. ‘봄철 불청객’으로 자리 잡은 미세먼지 등에 대한 계측 자료 등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집중호우에 따른 차량 침수 피해를 봤다는 기흥구 한 시민은 “요즘 내리는 비는 집중호우가 많은데 배수시설은 예전 그대로라 역류가 많이 발생한다”라며 “강수량 등의 자연재해와 관련한 정확한 자료는 재산과 인명 피해 예방을 위해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용인시는 현재 구별로 1곳씩 미세먼지 측정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후 6곳으로 확대할 계획에 있다. 최근 경주 등지에서 발생한 지진 감지 계측기는 용인시청 본청 1곳에 있다.

시 관계자는 “지진은 국가 업무로 용인에는 시 청사 내에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감지 계측기는 시청 내 1곳에 있다”라며 “지진이라는 게 국한적인 것이 아니라 나라 전체가 대상이라 너무 많은 지점을 할 수 없어 용인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