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로 추락, 급정차 탑승객 부상
개통 이후 34명 부상자 발생

용인경전철 차량 급정차 사고가 한해 평균 10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량 급정차 등으로 넘어지거나 부딪혀 부상을 입은 탑승객은 한해 평균 6~7명꼴로 개통 이후 34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용인시의회 이은경 의원이 용인시로부터 제출받은 용인경전철 차량 급정차 및 부상자 발생 현황에 따르면 개통 첫 해인 2013년 4월 26일 이후 189건의 급정차가 발생한 것을 비롯, 올해 7월 말 현재 487건의 급정차 사고가 있었다. 경전철 개통 이후 급정차 발생 건수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80건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태다.<표 참조>

역사별로는 운동장역이 7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대역 44건, 강남대역 41건, 시청역 39건, 기흥역 38건 순이었다.

급정차 원인은 역사 내 탑승 대기 중인 승객이 선로측 안전선을 침범해 차량이 급정차하도록 설계한 선로침입검지장치(GIDS)가 작동했기 때문이다. 대기 중인 승객이 승장강 안전설비인 GIDS를 침범하면 경고음과 함께 정거장을 진입하는 차량이 자동으로 멈춘다. 각 역사에는 안전펜스 사이 승강장에 GIDS가 설치돼 있다.

이 때문에 경전철 운행 이후 급정차에 따른 탑승객 부상자는 연평균 7명(선로 추락 제외)에 이른다. 급정차로 부상을 입은 3명이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1월에는 용인경전철 보평역에서 전동휠체어를 타고 있던 장애인 이모(65·처인구 고림동)씨가 승강장 아래 궤도 위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 전동차가 멈춰서 경전철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이 사고로 이씨는 인대가 끊기고 왼쪽 발뒤꿈치 뼈가 으스러지는 등 중상을 입었다.

결국 GIDS만으로는 승객의 선로 추락이나 차량 급정차로 인한 부상을 막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용인시도 이같은 점을 인식하고 2015년부터 경기도와 국토부, 기재부 등에 스크린도어 설치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지원근거 미흡을 이유로 번번이 기재부에 막혀 무산됐다.

용인시의회 이은경 의원은 “서울메트로 등 전국 12개 기관이 운영하는 광역·도시철도 중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지 않은 곳은 용인경전철 단 한 곳뿐”이라며 “추락, 투신 등 경전철 이용객의 승강장 안전사고 예방과 급정차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스크린도어 설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오는 23일 노인·장애인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갖고 용인경전철 승강장안전문 설치 문제 해법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