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의 생활주변에서 녹지와 숲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미 길들여져 있는 생활탓에 자연을 느끼는 생활보다는 쇼핑타운, 학원, 편의점등을 이용하는 일생생활에 더 익숙하다. 그러다 보니 예전의 숲과 산이 하천이 있던 자리에는 대형건물 등 갖가지 편의시설이 들어서고 산과 하천은 주말에나 한번씩 찾아가는 되는 멀리 있는 곳이 되어버렸다.

얼마전 한 연구원의 발표에 의하면 경기도에서 폭증하는 인구수용을 위한 각종 택지개발로 지난 20여년 동안 사라진 경기도내 산림이 726㎢로 서울시 전제(605㎢)에 수원시 (121㎢)를 합친 것과 같다고 한다.

용인만 하더라도 지난 90년대 후반부터 진행된 택지개발로 인해 그 울창하던 산과 숲은 사라지고 그 자리를 고층 아파트가 대신하고 있다. 이렇게 녹지를 훼손하고 산을 갈아엎으면서 무차별적인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도시용지’보다 농지가, 그리고 농지보다 임야가 싸기 때문에 산지·녹지를 우선 개발하려는 것이다. 흔한 말로 싼값에 개발하여 비싸게 팔면 돈 되는 장사고, 경치 좋은 곳이며 더더욱 금상첨화라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지금은 생활주변의 녹지는 하루가 다르게 사라져 가고 있는 게 현실이다.

무차별적인 개발사업으로 인한 가장 심각한 영향은 녹지와 환경의 파괴이다. 도시의 녹지와 작은 산은 단순히 미관상 아름다움이나 오염된 공기의 정화기능 이상으로 도시의 생태적 건강성을 유지시키고 도시민들에게 삶의 휴식처로서 생활의 안정과 여유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시 난 개발로 인한 녹지훼손과 환경파괴는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현재 녹지가 부족한 도시공간에서 그나마 있는 녹지조차 훼손하고 개발을 부추기는 것은 정부와 지자체의 녹지보전에 대한 무책임성과 공익을 명분으로 한 개발사업 또한 일조하고 있다. 정부의 개발제한구역을 대상으로 한 택지개발, 성미산 정상부에 대한 서울시의 배수지공사 등이 단적인 예이다.

3월이 지나고 4월이 오면 다시 여기저기 나무를 심고 잘 커가기를 다짐한다. 정부는 정부대로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주민과 시민단체는 주민과 시민단체대로 나름대로 나무를 심고 희망을 묻을 것이다. 올해도 그동안 훼손되어진 만큼 아니 그 이상을 심고 가꿔야 할 것이다. 또 중요한 것은 멀쩡한 산을 파헤치면서 ‘개발은 개발대로 하고 필요하면 녹지를 다시 만들겠다’는 정부와 지자체의 모습에서 나무를 심고 잘 가꾸는 것 보다 우리 주변에 있는 멀쩡한 숲과 산을 잘 지키고자 하는 노력이다.

용인, 수지 지역에서의 광교산 살리기 활동과 솔개동산 살리기 활동, 서울 마포에서 성미산 살리기 활동은 이러한 개발행위에 맞서 주민들 스스로 녹지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다. 그 노력은 지역주민이외에 누가 대신해주지 않는다.

/김홍철·환경정의시민연대 토지정의 팀장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