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지역축제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회장에서 있었던 일이다. 기흥에 사는 한 문화계 인사는 서북부와 동부로 나뉘어진 생활권과 정서적 이질감을 빚대어 이렇게 얘기했다.

“시청 소재지가 있는 지역을 올 때 ‘용인 넘어간다’고 합니다. 용인시에서조차 서북부 주민들 스스로 변방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그와는 달리 아예 용인이라는 지역공동체를 무시하고 독자적인 소지역 정체성을 내세우는 흐름도 있다. 특히 수지가 그렇다. 심지어는 용인시가 아닌 수지시로 알고 있거나 또는 극히 일부겠지만 고의적으로 수지를 독립적인 행정단위처럼 강조하기도 한다.

왜 이럴까. 이유는 세가지 정도로 살펴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생활권역의 이분화다. 기흥이나 구성, 수지의 경우 학교나 정주생활권이 용인보단 수원, 분당, 서울에 가깝다.

두 번째는 소외의식에 따른 반발심이다. 난개발의 대명사가 되버린 일부 수지주민들은 자주 ‘당신들이 여기와서 한번 살아보라’고 한다.

도시기반시설 부족에 따른 교통불편과 문화 복지공간의 부족, 녹지와 주거환경의 열악함 등이 이런 반발심과 소외의식을 불러왔다.

또 하나는 주민 구성상 다른 특성이 가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서북부는 이주민이 주류이며 젊은 층과 고학력층이 상대적으로 많다.

즉 지역적 가치보단 개인의 가치를 중시하고 정주의식이나 지역정체성이 동부권역에 비해 약하다. 반면 동부권역은 전통적인 농촌공동체 정서가 강하다. 주민 구성 역시 토착주민들이 많다. 외지로 출퇴근하는 주민보단 생활권역에서 일하는 자족적 기능이 우세하다. 이처럼 다양한 ‘차이’가 동-서북부를 갈라 놓는다.

그럼 그 해법은 뭘까. 도농복합시의 장점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살리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한 예로 원삼지역은 친환경농법에 의한 농·축산물이 생산되고 있다. 원삼농협이 제주도까지 가서 농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장차 수십만 인구로 늘어날 수지지역을 생각하면 서울이나 제주도까지 가서 직거래를 할 필요가 없다. 수지아파트 주민들과 직거래 장터를 활성화시킨다면 주민들간 이해를 높이는 계기도 된다. 또 가까운 거리에 따른 신선한 농축산물을 싼 가격에 살 수 있다. 그야말로 일석이조다.

그럼에도 시각은 서로 멀리만 바라 본다. 수지엔 각계에서 활동하는 전문지식인들이 적지않다. 지역사회 경쟁력을 높이는데 이들 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면 각 분야가 활성화되고 발전될 수 있다.

이처럼 동부와 서북부 지역이 각각의 장점과 특성을 서로 살린다면 갈등이라는 소모적 에너지를 용인지역 사회의 발전과 경쟁력을 높이는 생산적 에너지로 바꿔나갈 수 있다.

그럼 누가 이 일을 맡아야 할까. 지역 사회 각 영역에서 이끌어가는 사람들의 균형적 사고와 의식적인 화합노력이 있어야 한다. 특히 시 의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리는 흔히 예산을 둘러싸고 노골적인 지역대립을 보곤한다. “수지에 도로 100m를 건설할 돈이 있으면 우리 동부에는 1000m는 만들 수 있습니다. 생색도 안나는데 뭔 예산을 그쪽에다 쏟아 붓습니까” “난개발 문제는 서북부에서 생긴 문제인데 동부권역까지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오히려 개발이 더딘 동부권은 건축제한을 풀어야 합니다” “세금은 우리 수지 주민들이 많이 내는데 수지에 해준 게 뭐 있습니까. 차라리 분리독립하는 게 났습니다”

이런 식이어선 안된다. 양 지역이 서로에게 부담이 아니라 기댈 언덕이라는 긍정적 인식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도농복합시로서의 균형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