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육을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는 일체형 특수학교가 설립된다고 한다. 환영할만한 일이다. 그러나 이같은 결실이 용인시가 아닌 경기도와 강남대학교라는 교육기관이 먼저 나선데 용인시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 2020년 인구 130만명의 광역시를 지향한다는 용인시가 교육의 기회마저 박탈당한 장애아동을 위해 선뜻 특수학교 설립에 나서지 못하고 미적거리는 사이 학부모들이 발품을 팔며 큰 일을 해냈다는데 우선 경의를 표한다.

시는 도교육청이 2009년 안에 일체형 공립 특수학교를 설립할 계획에 있다며 장애아동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에게 관심을 갖지 않았다. 한 대학교에서 부지를 제공할 의사가 있다며 의향서를 보내와도 사립형 특수학교는 예산문제 때문에 곤란하다는 입장을 취하며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그러는 사이 장애아동을 둔 부모들은 특수학교설립추진위원회를 꾸리고 다른 지역 실태를 살피고, 경기도를 비롯해 경기도교육청, 용인교육청 등을 찾아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들은 실낱같은 희망으로 도지사를 만나 26학급 규모의 일체형 특수학교 설립에 도비를 지원하겠다는 뜻밖의 약속을 받아내며 결실을 맺기에 이르렀다. 물론 아직 넘어야 할 산은 적지 않다. 교육당국이 우려하는 지역이기주의에 부딪힐 수도 있고, 시에서 사립이라며 예산 지원에 소극적일 수 있다. 어쩌면 생각지 못한 변수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해답은 명확하다. 이제 학부모나 도, 대학교에 앞서 시에서 먼저 적극 나서야 한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하루에 서너 시간씩 차를 타고 다른 지역 학교로 등·하교하는 학생들과 이들을 뒷바라지 하는 부모들의 고초를 헤아리라고 채근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최소한으로 보장된 권리인 교육의 기회마저 갖지 못하는 이들에게 꿈을 가지라고, 또 사회와 더불어 살아가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는 마치 장애가 개인의 책임이며 그들이 당연히 감내해야 하는 것으로 치부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장애인부모회 용인시지부에 따르면 특수교육 대상자는 유치원 197명, 초등학교 345명,중학교 137명, 고등학교 187명 등 모두 866명에 달한다. 여기에 교육기관에서 교육의 기회를 받지 못하는 장애아동을 합하면 1000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2살∼7살까지 미취학 아동 197명 모두 보육시설이나 유치원 등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지 못하고 개인교습을 받거나 가정에서 부모의 손에서 배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초·중·고교 학생들 역시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는다. 초등학교 연령에 있는 20명, 중학교 연령대의 64명, 고등학교 연령대의 157명이 재택에서 교육을 받고 있고, 또 절반이 넘는 240여명이 다른 지역 학교에 다니고 있는 실정이라 한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특수학교 설립을 위해 어떤 지원을 할 수 있는지, 또 교육과 더불어 필요한 복지시설은 무엇인지 찾아 나서는 용인시가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