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로 활력을…자활의꿈을찾다4]

▲ 자활사업단이 지난 5월27일 백령사 야유회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꽃을 심는 것보다 심어놓은 꽃을 살피고 가꾸는 것이 중요하다. 자활사업도 참여 후 계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없다면 시들어 버린 꽃과 같을 것이다.”

초화사업단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초화를 가꾸는 것처럼 자활사업단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사업의 시작은 생활이 어려운 서민들에게 자활의 의지를 마련해주는 것이지만 결실은 실제 생활 속에서 ‘독립적인 생활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꽃을 피워야 한다는 것.

전국에 분포된 240여개 자활후견기관의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관리하는 자활정보센터는 “자활후견기관이 활성화를 띠고 있는 지역을 살펴보면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합리적·적극적 경영 마인드, 기관의 적극적 지원이 공통적 요소”라며 지역의 자활기관 중 성공적인 공동체 성립이 가능했던 기관의 사례를 통해 자활사업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보여준다.

자활공동체 사례를 통한 성공키워드

자활사업은 질 낮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돼 해당 자활공동체뿐만 아니라 전체 자활사업의 이미지를 실추해왔다. 이를 위해 자활기간 동안의 기술교육, 전문인력의 사업참여 등 상품과 서비스의 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울산동구자활후견기관이 지원하는 푸른마을공동체는 자활근로로 청소사업을 시작하면서 공원 공중화장실과 학교 화장실을 무료 청소하며 기술을 습득했고 이를 계기로 공중화장실 청소의 필요성을 구청에 인식시킴으로서 2002년부터는 구청으로부터 공중화장실 위탁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나아가 상품과 서비스의 질에 대해 자신감을 가졌다면 인증을 받거나 자격증을 획득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자활사업단이 활성화되기 위한 매출처 확보는 매우 중요한 과제다. 지자체의 지원을 통해 보호된 사업장을 확보하기도 하지만 중장기적인 독립사업을 위해서는 거래처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영업도 필요하다. 실제로 자활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는 지역의 경우 지역사회 내 사회단체, 종교단체, 기업 등을 통해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다. 부천원미자활후견기관이 지원하는 복사골 환경(청소사업단)의 경우, 부천시로부터 종합운동장 청소, 실내체육관 청소를 위탁받았고 광명자활후견기관이 지원하는 하얀나라 출장세차는 시청, 보건소, 공단과 계약을 맺고 해당 주차장을 거점으로 출장세차를 진행하고 있다.

시흥 작은자리 자활후견기관 최정은 실장은 “용인지역도 자활 협회차원에서 지원을 하는 5대표준화사업(복지간병, 집수리, 청소, 폐자원, 음식물재활용)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업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기존의 형식적인 교육프로그램에서 벗어나 각 사업별로 다른 지역의 성공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 기능교육에 투자, 사업단 운영과 관련해 참여자들을 주체로 세워내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역특수성 반영한 자활사업 진행해야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공상길 교수는 “자활사업은 시장 경제논리를 강조하기 보다 일을 통한 복지(workfare)를 실현하는 사회복지의 기본가치를 잘 반영한 것”이라면서 “많은 자활후견기관이 현실적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 자활자체의 의미를 되새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은 20여명이다. 시의 인턴형 자활사업, 사회적 일자리를 포함하더라도 참여인원은 60명에 그치고 있다. 그만큼 자활사업이 어려운 사정에 놓여있는 서민들에게 충분한 일자리로 비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셈이다.

이에 대해 YMCA 김능환 자활실장은“현재 인원 20명에 연말까지 20∼30명의 인원을 더 충원해 신규사업단을 증설, 보강할 것”이라며 하반기 자활사업 활성화 계획을 내놓았고 용인시도 자활 사업장 2∼3개 업체를 새롭게 확보, 인원도 40여명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자활사업의 인원충원과 함께 각 사업단 보강도 중요한 과제다. 주요 연령층이 50대 후반인 참여자들의 자활의욕을 고취하고 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산재돼 있는 지역사회 복지자원을 연결할 수 있는 민관합동의 자활지원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할 것”이라면서“재활프로그램의 사업성과에 대한 냉철한 평가가 요구된다”고 입을 모았다.

‘냉철하고 세심한 평가를 바탕으로 자활사업의 중장기적 운영체계 개선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는 것’만이 ‘저소득층 실업문제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을 고민해야 할 시기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