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제강점기 수형인명부, 원삼면사무소 문서고서 발굴 
경기동부보훈지청·용인시·의회·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 협업
수지 이어 두 번째…미포상 독립유공자 발굴사업 탄력 기대 

2019년 8월 원삼면사무소에서 수형인명표 확인작업중인 모습 용인시민신문 자료사진

용인 최초로 만세운동을 벌인 원삼지역 독립유공자 19명이 제75주년 광복절을 맞아  대통령 표창을 받게 됐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경기동부보훈지청(지청장 김장훈)이 정부혁신 기관대표과제인 ‘용인3·21만세운동 미포상 독립유공자 발굴’을 추진하면서 용인시, 용인시의회,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 등과 협업해 일제에 의해 희생된 19명의 독립운동 공적기록을 발굴, 국가보훈처에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한 데 따른 것이다. 이로써 용인시 다른 지역 독립운동 미포상 유공자 발굴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공적기록 발굴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이 협업한 사례로써 주목된다.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을 추진하면서 용인 3·21만세운동을 공동으로 조사하던 중,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사무소 문서고에서 당시 만세운동에 참가하고 태형 90대의 형을 받은 19명의 수형인명부를 찾아냈다.

지난해 8월 21일, 국가보훈처 경기동부지청 양진건 보훈팀장과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 우상표 회장 등은 원삼면사무소 문서고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범죄 관련 문서 가운데 우리에겐 애국지사를 뜻하는 보안법 위반 ‘1918 수형인명표(受刑人名票)’라는 기록문서를 확인한 바 있다. 

일제가 작성한 수형인명부에는 당시 만세운동 참가자의 죄명은 ‘보안법위반’, 형의 명칭을 ‘태 90’, 즉결청명을 ‘용인헌병분대’로 기록하고 있으며, 성명과 생년월일, 주소, 출생지, 직업, 판결언도일 등을 포함하고 있어 독립유공자 포상을 입증할 수 있는 결정적인 공적자료로 인정됐다. 
 

이웅한 선생 보안법 위반사건 관련 조선총독부 기록

이번에 대통령 표창을 받은 독립운동가는 김일춘, 박흥준, 박희적, 서천길, 안재섭, 오경렬, 이범기, 이병연, 이상철, 이은상, 이웅한, 이태현, 임흥도, 장병식, 장지선, 조용산, 허충, 황덕재, 황찬경 선생 등 19명이다. 이들 모두 원삼지역 3·1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돼 태형 90대의 고초를 받았다. 3․1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태형을 받은 19명은 대부분 평범한 농민으로 당시 3․1운동이 전 계층이 참여한 거족적인 투쟁이었음을 보여준다.

용인 3·21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1일 용인군 원삼면에서 시작해 4월 2일까지 1만3200여명이 참가한 용인 최대의 독립운동으로 35명이 피살되고, 부상 140명, 투옥 500명 등의 희생이 있었던 역사적인 운동이다.

용인에서는 지난해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수지면에서  3·29머내만세운동에 참여한 15명의 독립운동가를 발굴해 대통령 표창이 추서된 바 있다. 이번 역시 민·관 협업으로 원삼면에서 발굴한 독립운동가 19명을 추가 발굴해 현재까지 총 34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됐다.

김장훈 지청장은 “2018년부터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의 공동 노력으로 용인지역의 독립유공자를 발굴해 포상까지 이뤄지게 돼 독립역사를 밝히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그분들의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그간 용인독립운동 관련 연구자들이 확인한 원삼지역 변용섭, 강신복, 한승원 선생은 구체적 자료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이번 75주년 광복절에서 대통령 표창 추서가 어렵게 됐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