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개발 용인시에 도시공원은 상징성 커 그대로”
“변화 맞춰 새로운 기준 예산 효율적 사용해야”

일몰제를 앞두고 용인시가 공원 조성을 확정한 통삼근린공원 조감도

용인시가 일몰제 대상이던 도시공원 전체를 보전하기로 결정한지 9개월여가 지난 가운데 용인시는 관련 예산 확보를 통해 차질 없이 계획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을 재차 밝히고 있다. 이에 대체적으로 시의 취지에 공감하지만 세부 내용에서는 다소 이견이 나온다. 

용인시는 지난해 10월 장기미집행 상태에 있던 도시공원 12곳 전부를 애초 계획대로 공원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를 위해 관련 예산을 확보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갈 것이라고 입장을 덧붙였다. 이후 6월 백군기 시장은 취임 2주년을 맞아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사업이 코로나19와 일본산 경제 보복으로 인한 세수확보에 어려움이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도시공원 사업은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실제 시는 현재 총 12개 대상지 중 올해 실효 예정인 6개 대상지 중 양지근린공원을 지난해 10월 준공했다. 제39호 어린이공원은 지난해 12월 착공했으며, 고기·통삼근린공원에 대해선 지난 6월 실시계획 인가 후 보상계획을 공고했다.

또 영덕1근린공원과 중앙공원 등 2곳에 대해선 민간특례와 공급촉진지구 지정 등 정부 정책을 활용해 조성하기로 했다. 여기에 용인시는 1658억을 투입했다. 이어 시는 영덕 1근린공원과 중앙공원 등 2곳은 민간 특례와 공급촉진지구 지정 등 정부 정책을 활용해 투입 예산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자연 그대로 공원, 활용도 높인 공간= 시가 도시공원 조성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효율적인 예산 활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당장 큰 규모의 예산이 이 사업에 투입됨에 따라 시급을 요하는 다른 사업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하는 우려 때문이다. 도시공원 부지 활용을 둔 의견도 다양하다. 

하지만 용인시는 도시공원 사업과 관련해서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나마 2023년까지 실효 시기인 공원부지에 대해서는 용인시가 선제적으로 예산 투입을 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지만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실효 시기가 도래하는 서천소공원 등 24개 공원에 대해서 지금과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나온다. 

용인에서 활동하고 있는 환경단체 한 관계자는 “백 시장의 성과 중 도시공원 조성은 손에 꼽을 수 있는 부분이라고 본다. 난개발로 치유가 필요한 도시에 도시공원을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라며 “공원으로 조성하지 않고 그대로 둬도 공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시 행정을 지지했다. 

반면 우려를 하는 시민들은 용인시가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출구전략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2023년 실효 종료에 맞춰 용인 플랫폼시티 개발 계획에 포함된 풍덕천5근린공원 인근 아파트에 거주하는 유혜란씨는 “개발을 너무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있는 그대로 지키기 위해 예산을 사용하기 보다는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라며 “당장 주변 환경에 맞춰 공원을 조성하고 필요한 예산은 다른 부지를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냈다. 

중간적인 입장에 선 시민들도 많다. 특히 도시공원 접근성이 다소 낮은 지역에서는 원점에서 다시 논의할 수 있는 계기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기흥구 신갈동에 거주하는 이대만(54)씨는 “십수 년 전에 세운 계획에 맞춰 공원을 조성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용인시는 그 사이 정말 많은 변화가 있었다”라며 “이에 맞춰 원점에서 다시 공원 조성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정작 필요한 곳에는 없고 활용도가 낮은 곳은 그대로 조성되면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나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시는  2023년까지 실효되는 부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대한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라 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