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인류는 코로나19라는 새로운 바이러스 등장으로 큰 어려움에 빠져 있다. 인류를 위협하는 신종 바이러스로 세계 각국은 불가피하게 ‘일시 멈춤’을 선택했다. 이런 세계적인 위기 속에서 우리나라는 의학적 통념에 정면으로 도전하며 모든 감염자의 동선을 파악하고, 시민들의 이동제한 또한 없는 ‘역동적 대응체계’를 실시했다. 국가에서 정보를 투명하게 실시간으로 전달해주니 국민들은 점점 국가의 정보를 신뢰하며 다른 나라와 달리 대혼란에 빠지지 않았고, 이제는 생활 방역으로 들어서고 있다. 

교육부도 학교 개학을 미루는 초유의 비상상태에서 온라인 개학 등 최대한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경직되고 기존 제도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고 있음이 보인다. 비상시국에서도 수업시수나 입시에 대해서 어떠한 제도도 변경하지 못하고 기존 안대로 유지하려는 모습이 그 단적인 예이다. 수업시수 확보를 위해 온라인 수업에 무리가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강행하고, 고3 입시에서도 재수생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바로 보이는데도 어떤 변화도 없다. 

교육부의 온라인 개학에 대한 가이드가 나오기 전에 각 학교 선생님들도 많이 혼란스럽고, 온라인 수업을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준비해 오신 것으로 알고 있다. 온라인 개학을 하며 미래 학교 교육의 방향을 더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었던 기회가 된 것도 사실이다. 다양한 장단점이 보였던 온라인 개학에서 우리는 학교 교육은 단순히 학습 진도만 나가는 곳이 아니라는 점과 지금 현 상황에서는 또 다른 학습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등이 부각되었다. 

학부모로서 교육부의 발빠른 대처가 아쉬웠던 대목에서 각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학생들의 학습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노력이 보였다. 이는 분명 모든 교직원들의 노고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자녀들이 재학 중인 수지구 죽전동에 위치한 죽전초등학교의 3월부터 5월 초까지의 모습을 소개하고자 한다. 

죽전초등학교는 학교와 학부모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3월 2일부터 전학년 에듀넷 e-학습터 학급 개설 및 운영 등으로 미리 온라인 개학에 대한 사전준비를 했다. 이후 전학년 전화면담을 통해 각 담임선생님들은 학부모와 학생들과 소통했다.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온라인 수업 방식에 대한 사전 회의를 거쳐 쌍방향 온라인 수업은 어렵다고 판단하고, 컨텐츠 활용형에 더해 과제 제시형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4월 7일에는 워킹 쓰루 방식으로 교과서 및 학습꾸러미(1차) 배부됐다.

형제자매를 미리 e-알리미로 취합해 확인한 후 교과서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도록 애쓰는 등 최대한 학부모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학교에서는 작은 것 하나에도 섬세하게 배려했다. 죽전초 학생들은 5월 1일까지 총 4차례 학습꾸러미를 받았다. 마지막 학습꾸러미에는 올해 98주년 맞는 어린이날 학교에서 아무런 행사를 못 해 주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각 학년별로 어린이날 선물도 준비해 줬다. 각 학년별로 선생님들이 많은 고민과 수고를 해준 것이 보였다.

5월 13일 고3부터 순차적으로 개학을 시작한다. 스스로 온라인 학습하기가 사실상 힘든 초등 저학년과 유치원도 5월 20일에 고2와 중3과 함께 개학한다. 돌봄 문제로 초등 저학년의 우선 개학을 이야기하면 직장맘 때문이라는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차별로 갈등을 야기하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부는 더 신중하게 고민해야 한다. 누군가의 도움 없이 온라인 수업을 할 수 있는 학년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 개학한다고 메시지 전달을 해야 한다. 저학년들은 아직 면역력이 약하기에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온라인 수업도 가능하도록 하는 등 선택적 수업이 가능하면 좋겠다는 학부모들의 의견도 있다. 초등 저학년의 경우 일시적으로 1교실 2교사를 배치해 코로나 종식 전에 개학하는 의미가 퇴색되지 않도록 안전과 교육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반드시 잡아야 한다. 

또한 수업시수를 채우기 위해 무더운 여름에 여름방학을 완전히 축소해서 운영하는 것은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할 때, 꼭 그렇게 시행해야 하는지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교육부가 학부모들에게 모든 세부사항 하나까지 투명하게 공개하고 적극적으로 협조를 구하면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을 세워 학교 일선의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번 경험을 발판삼아 온라인 학습체계를 안정되게 구축하는데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한다. 

앞으로 교육정책을 입안하는데 아이들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유연하고 전향적인 태도를 견지하길 바란다. 질병관리에서 보여줬던 우리나라의 저력을 이젠 교육에서도 보길 바란다. 진심으로 교육부가 많은 학부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탄력적인 정책을 펴길 바란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