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주민자치센터가 운영하는 프로그램 상당수가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주변 상권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시민들의 각종 복지 지원센터 역할 뿐 아니라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기관이 될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주민자치센터가 운영하는 강좌를 두고 말이 많다. 한정된 소비층을 두고 민간 시장과 공공기관간 경쟁이 불가피 하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가격 경쟁뿐 아니라 시설 등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일부 학원의 한탄의 목소리는 제법 심각하다. 

◇지역별 등록인원 큰 차이 보여= 용인시에 있는 주민자치센터 수강인원 현황을 보면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다. 3개 구별로 보면 처인구 11개 자치센터 전체 인원 대비 등록자수는 89.1%, 수지구도 9개 센터가 평균 89% 수준을 보였다. 반면 기흥구는 11개 센터가 86.4%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인다. 전체 31개 자치센터 중 가장 등록 인원이 많은 곳은 처인구 중앙동으로 전체 490명 모집에 1290여명이 등록해 2.6배를 넘는다. 기흥구 서농동 역시 103%로 등록인원이 증원을 넘어섰다. 반면 기흥구 상하동은 63%로 가장 낮았으며, 이외 처인구 유림동 주민자치센터를 비롯해 7곳은 등록률이 80%를 넘지 못했다. 

등록률이 가장 저조한 상하동의 경우 인근에 지석초등학교에 위치해 있으며, 대규모 공동주택은 용인경전철과 대로에 막혀 있다. 그만큼 접근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27개 프로그램 중 17개 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특히 대부분 충원율이 높은 헬스 역시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에어로빅의 경우 전체 66명 모집 정원이지만 두 개로 나눠진 반 모두를 합쳐도 66% 수준인 41명에 머문다. 

반면 모집 정원의 2배 이상이 모인 중앙동 주민자치센터의 경우 전체 모집 인원이 490명으로 그리 많지 않다. 서농동 역시 다른 자치센터에 비해 전체 모집 정원이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정원을 채우는데 어려움을 덜하다. 관심을 가지고 봐야할 곳은 양지면이다. 양지면주민센터 관할 구역 인구는 2만여명이다. 처인구 원삼면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인구가 가장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모집 정원은 3700여명으로 용인 관내 자치센터 중에서 가장 많다. 더 흥미로운 것은 등록인원 3100명에 이른다는 것이다. 단순 계산식으로 하면 관할지역 인구 100명 중 15명이 주민센터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양지면자치센터가 이만큼 활성화된데는 두 가지를 눈여겨봐야 한다. 우선 지리적 특성이다. 센터 주변은 상권과 주택가가 적절히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기흥구나 수지구의 대도시와 비교하면 활성화의 우선조건으로 뽑기에는 한계가 많다. 

두 번째로 살펴봐야 하는 부분은 프로그램이다. 양지면은 사실상 용인에서는 유일하게 수영 관련 강좌가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총 19개 프로그램을 통해 2685명을 모집했다. 이중 2391명이 등록했다. 이는 용인에서 관리 인구 수가 가장 많은 동백동 전체 수강인원보다 많다. 그만큼 확실히 특성화 됐다는 것이다. 

◇프로그램 부익부 빈익빈 해결해야= 용인시 주민자치센터가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대동소이 하다. 가장 인기를 얻고 있는 프로그램은 각종 운동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헬스’로 전체 30곳에서 운영된다. 이용자 수도 총 9700여명에 이르며 충원율은 전체 프로그램 충원율보다 10% 가량 높은 98.1%에 이른다. 특히 11곳은 수강인원을 넘어섰으며 중앙동 자치센터는 정원 대비 2배를 훌쩍 넘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이외도 댄스 요가 색소폰 등 악기 강좌에는 신청이 이어지고 있지만 일부는 폐강 위기를 간신히 넘을 정도로 고전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부익부 빈익빈 상황은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결국 시민들의 선택지 감소로 이어진다. 

실제 수강생이 꾸준히 모이고 있는 요가의 경우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포곡읍자치센터는 관련 강좌가 총 5개가 운영, 100명 모집 정원 중 128명이 신청해 당장 반을 늘려야 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반면 이동읍 자치센터는 요가 관련 5개 강좌를 개설 125명을 모집했지만 89명만 접수했다. 백암면 역시 비슷하다. 자치센터에는 2개의 생활요가를 통해 각각 40명씩 총 80명을 모집하지만 충원인원은 37명에 머문다. 한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인기 강좌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다 보니 정작 지역 여건 맞춰 신설 강좌를 구축하는데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기흥구 한 주민자치센터에서 음악 관련 강좌를 진행하고 있는 강사는 “한번 인기를 얻는 강좌는 계속 이어지는데 새롭게 만들어지는 강좌는 자리 잡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시민들께서는 다양한 강좌를 듣길 원하는데 인기가 있다는 이유에서 무작정 반만 늘리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주변 상권과 경쟁 부추기는 주민센터?= 다양한 강좌 개설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또 다른 곳에서 찾는 시각도 있다. 주변 상권과의 관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용인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한 다선의원은 주민자치센터 강좌건과 관련해 “지역 상권과의 불편함 때문에 신설 강좌를 개설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이야기가 빈번히 나온다”라며 “주민에게는 다양한 배울 기회를, 상인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 역할을 하는 공간이 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주민들은 주민자치센터가 공익 목적의 역할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영덕동 주민자치센터에서 사교댄스 강좌를 듣고 있다는 박 모씨는 “용인시의 경우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해 이에 맞춰 센터가 만들어지지 못하다 보니 생활권과 다소 거리가 있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이용이 불편하다”라고 지적했다. 

신갈동 자치센터에서 요가강좌를 듣고 있다는 이 모씨는 “주변에 상권이 있어도 뭔가 배울 수 있는 곳은 많이 없다. 그나마 드물게 몇 몇 개가 있는데 가격이나 시간이 맞지 않아 찾기 힘들다”라며 “다른 지역도 주민(자치)센터가 들어선 곳을 보면 상권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일부 특정 업종을 위해 시민들이 알뜰하게 문화생활을 즐길 기회를 막아선 안 된다”고 말했다. 

상인들 역시 할 말이 많다는 입장이다. 실제 전국에서도 자치센터가 운행하는 강좌로 피해를 입고 있다는 상인들의 목소리는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특히 많은 수강생이 모이는 강좌의 경우 ‘쌍끌이’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처인구 한 자치센터 인근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는 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자치센터 주변에 헬스장 운영하면 망한다는 말들이 있다. 가격을 낮춘다거나 이벤트를 해도 쉽게 돌아오지 않는다”고 하소연 했다.  

기흥구 동백동에서 한 스포츠 관련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이 모씨는 “같은 세금을 내고 있는 시민인데 누구는 편리하게 이용하고 누구는 이로 인해 피해를 본다면 안될 일”이라며 “민간부문 침해는 관련 종목을 업으로 해서 생계를 꾸려나가는 영세자영업자들에게 생존권마저 위협 받을 정도의 폐해를 준다. 더 강력한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지역과 연계한 활성화 방안을 시도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성공모델로 꼽을 만한 사례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여기에 대형마트 내에 입점한 다양한 문화센터까지 가세해 자치센터로 야기된 지역경제 위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용인시의 경우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자치센터 주변 상권을 관리하는 것조차 한계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용인시가 이 점을 슬기롭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범 시민 차원의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