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희 작가 인터뷰집 펴내

17일 처인구 원삼면 생각을담는집에서 책 주인공과 가족, 작가가 참석한 가운데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임후남 대표, 홍사국 씨, 서정옥 씨, 신금순 씨, 최근자 씨, 안선호 씨, 김선희 작가)

“늙음이 끝이 아니라, 늙음도 시작이라는 이치를 헤엄을 치며 깨달아가고 있다. 이 세상에 오길 참 잘했다, 나도 태어나길 참 잘했다는 그날이 올 것을 믿고 살면 된다.”

차갑고 화가 많았던 어머니에게 단 한번 따뜻한 말 한마디 듣지 못했다. 혹독한 시집살이도 견뎌야 했다. 자식들이 태어난 후에는 자식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이를 악물고 일했다. 그리고 찾아온 암, 교통사고…. 1945년생 서정옥 씨 삶은 행복하지 않았다. 그에게 삶은 목숨을 건 전투였다. 그랬던 삶은 죽을 고비를 두 번 넘고 나서 달라졌다. “지금 이 순간이 가장 행복하다”는 서 씨의 담담한 고백이 묵직하게 다가오는 이유다.  

한 시대에 태어난 이들은 나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안 크고 작은 시대의 흐름을 공유하게 된다. 70~80대 노인들은 6·25전쟁을 겪으며 형제를 잃어야 했고 가난을 온몸으로 맞서야 했다. 결혼도 부모가 정해준 곳으로 가야만 했던 시대. 그들은 가족을 위해 한평생 험난한 순간들을 맨몸으로 견뎌냈다. 이들이 나이가 들어서야 여유를 느끼고 진정한 삶을 만끽하는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교훈을 주기에 충분하다. 

김선희 작가의 '살고 보니 아름답구나'

평균 나이 76세, 용인시 처인구 노인 7명을 만나 들은 이야기를 엮은 김선희 작가의 <살고 보니 아름답구나>는 ‘생각을담는집(대표 임후남)’이 발간했다. 지역 노인들을 수소문하고 한 사람 한 사람 만나 인터뷰하는 과정은 김선희 작가와 임후남 대표의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애정이 담겨있다. 

2년 전 떠난 아내를 그리워하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자서전을 쓰는 안선호 씨,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학교도 제대로 못 다녔지만 주경야독하며 깨친 학문으로 20여 년 동안 200여편의 글을 남긴 오세승 씨, 농사를 짓고 경운기를 고치며 사는 향토시인 홍사국 씨, 서슬 퍼런 시집살이와 가난을 이겨내고 지금 가장 행복하다고 고백하는 서정옥 씨, 힘들면 힘든 대로 좋았고 즐거우면 즐거운 대로 좋았다는 천성이 긍정적인 최근자 씨, 가난하지만 행복하고 화목한 가정을 꾸리고 싶었고 그 바람대로 다 이루었다는 윤재구 씨, 힘든 세월을 건너와 지금이 있기 때문에 지금이 인생에서 가장 찬란하게 아름답다고 말하는 신금순 씨. 

이들의 이야기를 읽는 독자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삶’이라는 단어의 숭고하고 아름다운 의미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게 된다.  

김 작가는 서문에서 “나이 들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 내가 만난 일곱 분의 노인들은 그 질문에 가장 성실한 답을 한 삶의 교본 같았다”며 “이 책이 단순한 노인들의 이야기를 듣는 데서 그치는 게 아니라 장차 노후를 맞이할 우리들을 제대로 잘 사는 길로 안내하는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13일 처인구 원삼면 생각을담는집에서는 <살고 보니 아름답구나>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책의 주인공과 그 가족들, 김선희 작가와 임후남 대표가 한 자리에 모인 자리였다. “제가 이런 자리에 나와도 되는 건지 모르겠다”는 노인의 수줍은 한 마디에 갑자기 눈물이 흐르고 말았다. 눈물은 이들이 헤쳐 온 삶에 대한 존경이었다. 고마움이었다. 

 

#<살고 보니 아름답구나> 인터뷰이 중 한 분이신 오세승 할아버지께서는 17일 영면하셨습니다. 할아버지께서는 생전에 인터뷰를 통해 할머니와 오근자근 그냥 산다며 앞으로도 그렇게 살고 싶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가난 때문에 제대로 배우지 못하셨지만 독학으로 공부하셔서 야학 선생도 하시고 산문집도 내실 정도로 활발히 활동해오셨습니다. 삼가 오세승 할아버지의 명복을 빕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