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활성화 방안 협치토론회
유휴공간·카페 활용 등 제안 눈길

생활문화 인식 확산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 경기도 민관협치 인식 확산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제안 내용에 투표하고 있다.

“생활문화 정보를 얻거나 홍보할 수 있는 홈페이지 구축과 문화 소외지역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해 정보를 모두 볼 수 있는 네트워크 플랫폼을 제안합니다.”

생활문화를 어떻게 인식시켜 활성화할 것인가에 대한 용인시민들의 열띤 토론과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용인시는 11일 용인시청 컨벤션홀에서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생활문화 인식 확산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용인문화재단 이소연 팀장의 생활문화 흐름과 담론에 대한 주제 발제에 이어 각 조별 토론을 거쳐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됐다.

동네서점 운영자라고 소개한 임후남 씨는 서점 운영의 경험을 토대로 생활문화공동체 공간의 다양한 확보와 생활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허브 필요성에 대해 밝혔다. 임씨는 “각 지역에서 주민들이 고루 문화를 향유하고 언제라도 공연을 볼 수 있는 생활문화공간이 필요하다”면서 생활문화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카페나 서점을 생활문화 허브로 등록해 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마을회관이나 아파트 공동공간 등은 문턱이 높다고 지적한 임씨는 용인시가 생활문화 허브로 등록하는 카페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문화네트워크 혜윰 대표 박은선씨와 용인문화재단 생활문화 담당자 이그린씨는 공연이나 전시 등을 얻거나 홍보할 수 있는 홈페이지 구축이나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박은선씨는 “동호인 단체 등은 공연이나 전시를 할 때 비용 등으로 홍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시와 문화재단 홈페이지 등의 홍보 진입장벽이 큰 만큼 별도 생활문화 홈페이지를 구축해 누구나 자유롭게 홍보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씨는 생활문화 서포터즈 운영을 통한 생활문화 홍보단 구성도 제안했다. 소외지역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 필요성도 밝혔다. 그는 “처인구 농촌지역의 경우 문화를 향유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며 마을 단위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력 등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그린씨는 온라인을 통해 시·공간 제약 없이 생활문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이씨는 “생활문화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면 공간이 필요한 이들에게 공간을 연결해주는 매개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휴공간이나 학교 빈 교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일원화 된 정보창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용인문화재단 아트러너로 활동하고 있다는 한지영씨는 동네 미술관과 전문 공연장이 있는 생활문화 커뮤니티 공간을 제안했다. 한씨는 “어릴 적부터 예술을 통해 문화적 포용력을 배우는 게 중요하다”면서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동네 미술관이나 시민 중심의 복합 커뮤니티 공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씨는 노인부터 유아까지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면 젊은 작가뿐만 아니라 경력단절 여성까지 직업과 사회 활동 기회의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동네 생활미술관 건립을 제안했다.

한편, 24일에는 3차 토론회를 열고 20여 명의 전문가 등이 시민 제안 등에 대해 논의한 뒤 정책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