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몰제 앞두고 도시공원 조성 필요성 이어져

개발 직전 위기에 처한 고기리 고기공원 일대

“도시공원은 그냥 시민의 쉴 공간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에요. 그곳에 오랫동안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식생물 터전도 빼앗기는 꼴이죠. 때문에 도시공원 조성 계획은 유지돼야 해요”

도시공원 일몰제를 1년여 앞두고 용인 내 공원조성 구역 해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도시공원을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 뿐 아니라 식생물의 터전으로 자리한 공간을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장 용인시 입장에서는 계획을 고스란히 유지하기는 힘들다는 것으로 전망이 우세하다. 장기간 공원부지로 묶어있던 공원부지 내 토지주 일부는 이미 도시계획시설 해제에 맞춰 재산권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용인시 입장에서 사유지를 매입해 자체적으로 공원으로 조성한다는 방안도 재정상 부담스럽다.

도시공원이란 도시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 건강, 휴양과 정서 생활을 위해 도시지역에 설치 또는 지정한 공원을 말한다.

현재 도시계획시설 해제를 앞두고 있는 장기미집행공원 수는 총 36곳으로 254만1951㎡다. 이중 내년에는 총 6곳 118만㎡ 2023년에는 6곳 70만㎡이른다. 이를 용인시가 자체적으로 공원으로 조성할 경우 들어가는 비용은 보상만 3600억원에 달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일몰제가 적용되는 내년 7월 이후 도시공원으로 지정된 부지 곳곳이 시기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결국은 개발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에 용인에서 활동하고 있는 환경단체를 비롯해 도시공원 조성부지 일대에 주민들과 정치권까지 가세해 도시공원 조성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의견을 내고 있다.

실제 5일 용인시의회 장정순 의원 주관으로 열린 ‘고기(낙생)공원 일몰위기 대안 모색 간담회’에 참석한 용인환경정의 이정현 사무국장이 도시공원 조성 부지 내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뿐 아니라 각종 식생물이 서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국장은 “도시공원 개발예정 부지는 시민에게는 쉼터이자 식생물 생활공간”이라고 밝혔다.

용인시의회 남홍숙 의원도 12일 시정질문을 통해 “도심의 허파인 공원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도 전에 콘크리트 건물로 채워질 안타까운 상황에 놓여있다”라며 “그럼에도 시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세우기보다 책임 떠넘기기에만 급급한 안타까운 실정”이라고 도시공원 조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같은 날 유진선 의원은 도시공원일몰제에 따른, 영덕1공원 특례사업추진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공원조성과에서 푸른공원사업소로 조직이 확대되었는데, 시민 눈높이에 맞는 공원조성계획을 세워주시길 기대했지만, 최근 보여준 일련의 모습에 실망”이라며 “용인시 예산규모가 2조 7000억원으로, 용인시가 몸집은 커졌지만, 재정운용 등 살림살이 솜씨가 몸집에 비례하는지, 시민의 눈높이에 맞추어가는 것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고 일갈했다. 용인시가 예산 부담으로 도시공원 부지 매입에 소극적으로 대하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몰제가 적용되는 7월부터 도시계획시설에서 해제되는 도시공원 부지에 대한 갑작스러운 개발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하지만 결국은 보존은 힘들 것이라는 것이 지배적이다.

용인시 공원 관리부서 관계자는 “도시공원부지로 묶여 수십 년간 재산권 행사를 못한 분들이 많다. 내년에 일몰제가 시행된다 해도 곧바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보지 않는다”라며 “하지만 용인시가 제대로 준비를 하지 않으면 결국은 공원으로 조성되기 보다 개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