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통합전담센터 필요성도
노무 상담 등 매칭전략 제안

 

 

용인시가 5일 ‘청년생활 실태조사 연구’에 대한 최종 보고회를 갖고 지역 특성에 맞는 청년 정책에 대한 방안을 논의했다. 시가 청년생활 전반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정책을 제안하는 용역을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를 통해 나타난 용인 지역 청년층의 실태와 제안된 정책을 살펴봤다.

◇20대 65%, 30대 56% 이주 계획 ‘있다’= 용인시 청년 인구수는 늘어나고 있으나 전체 인구 중 20~39세 청년인구의 비중은 2015년 27.6%에서 2017년 26.79%로 점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9세, 30~39세 인구 비율은 각각 12.2%, 14.6%로 경기도 13.4%, 14.9%보다 낮았다. 특히 30~39세 비율은 경기도 전체는 물론 인접한 성남(15.3%)·화성시(18.9%)에 비해서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19세 이하 비율이 22.4%로 높은 것을 감안할 때 대학 입학 및 경제활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타 지역으로 전출하는 청년이 많다고 분석했다.

취업활동이 활발한 30대 인구수는 2016년 15만2800명에서 2017년 14만7000여명으로 감소했지만 2018년엔 15만명으로 다시 소폭 늘었다.

2016년 이후 용인시 취업자 가운데 용인에 주소지를 둔 직장으로 통근하는 근로자보다 타 지역 통근 근로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하반기 기준 거주지 내 통근자는 약 21만1000명이었지만 타 지역 통근자는 24만6000명으로 3만5000명 많았다. 취업자 주소지 역전 현상은 장기적으로 볼 때 지역의 자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주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용인시 20대가 65.4%, 30대 56.6%가 ‘있다’고 답했다. 주된 이주 이유로는 20대는 직장 및 취업이 78.3%로 가장 많았고 30대는 주거(34%)를 꼽았다. 20~39세 가구 소득원 조사에서 용인시 20대는 근로소득 외 친인척 지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31.9%로 경기도 14.3%, 성남 6.1%, 화성 3.1%에 비해 크게 높아 완전한 경제적 독립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별·연령별 정책 수요 뚜렷한 차이= 생활 실태조사는 3개구별 인구에 비례한 성, 연령별 비율에 따라 용인시 거주 만 18세 이상 39세 이하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가치관과 정책에 대한 수요는 세대별, 구별로 차이를 보였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30대 응답자는 취·창업교육(21.5%)과 창업투자(21.3%), 교육비와 공간 지원(20%) 같은 구체적인 자원과 기회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20대 응답자는 교육비와 공간 지원(23.3%), 취·창업교육(21.5%), 인턴십(14.8%), 청년수당(13.9%) 등 소득지원 정책과 경험 제공을 골고루 기대했다. 기흥구 청년들은 실내체육공간(57.9%)과 사교모임 공간(50.2%)이 늘어야 한다고 답한 반면, 처인구와 수지구는 문화예술 공간(각각 42.3%, 44%), 평생학습 공간(각각 33.6%, 40.5%)을 가장 원했다.

보고서는 용인시에 다양한 청년 정책을 수요층과 매치시켜주는 ‘청년정책통합전담센터’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일자리창출과 같이 기초지자체 단위에서 해소하기 어려운 정책 목표보다는 용인시에 거주하는 근로 청년들을 위한 노무 상담 프로그램 등 대상이 뚜렷한 서비스 제공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봤다. 지리적 특성상 3개구별로 매칭 전략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외 △청년 참여예산제와 연계해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했을 때 이를 실행과 참여로 연결시키는 방안 마련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참가자를 중심으로 소규모 후속 모임의 기회를 제공 △구직에 성공한 3~4년차 청년 선배와 멘토링 기회 제공 △노무·금융·주거 등 사회초년생에게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1인 가구·번아웃 등 청년 세대 수요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