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민선 7기 청년정책사업의 주요 핵심은 청년 참여 강화다. 시는 올해 추진계획에 청년정책위원회, 청년참여 네트워크 구축, 주민참여예산 청년위원회 강화 등을 포함시켰다. 청년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청년의 목소리를 실제 용인시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칫 의견 수렴에만 집중해 매 행사가 1회성으로 그친다면 예산만 낭비하고 오히려 정책이 중구난방으로 방향을 잃을 수도 있다. 때문에 분야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연령의 청년들을 모으고 현재 추진 중인 시 청년정책의 기본 방향과 계획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의견을 도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관계부서와 청년 간 자유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해 청년과 행정당국, 전문가 등이 형식적인 만남이 아닌 자유로운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하는 것은 시가 풀어야할 숙제다.

앞서 청년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했던 수원시 역시 청년의 목소리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용인시 정책 방향과 비슷하다. 그런 면에서 수원시가 정책을 추진하며 겪었던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수원시는 구별 청년 정책자문단 등을 운영하며 청년 참여를 높이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수원시는 먼저 2015년 12월 청년, 전문가, 시민 등 20명으로 구성된 청년정책 추진 준비단을 운영하고 다음해 2월 청년정책관을 신설했다.

이어 같은 해 10월 구성된 수원시 청년정책위원회는 1기 35명으로 시작해 2년 임기를 마치고 지난해 2기가 출범했다. 2기는 청년정책전문가, 청년활동가, 관계공무원 등 50명으로 확대됐다. 청년정책위원회의 역할은 수원시 주요 청년정책을 심의·의결하고 자문하는 역할로 용인시와 동일하다.

시 청년기본조례에 따라 용인시 청년정책위원회는 20명 이내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수원시보다 규모가 작고 관련 조례 상 청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실·국장을 제외한 청년 위원은 8명 이상으로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청년의 참여가 기대에 못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청년정책위원회가 형식적인 심의의결기구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전문가, 청년 활동가 등 위원 구성에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시는 이에 대해 1기 위원회를 소규모로 구성해 진행하고 정착 이후 인원을 늘려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단순한 사업 심의의결 기구가 아닌 청년 정책에 직접적인 의견을 낼 수 있는 수원시 구별 청년정책자문단 운영도 눈에 띈다. 수원시는 청년정책위원회 외에 지난해부터 장안·권선·팔달·영통구 4개구별 정책자문단을 각 25명으로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구별로 운영되는 자문단은 실제 주소를 둔 지역과 관련한 정책 제안과 건의, 청년 프로그램과 토론회 등에 참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16년 10월 개소한 오프라인 청년 플랫폼인 청년지원센터 ‘청년바람지대’는 주목할 부분 중 하나다. ‘청바지’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센터는 수원 청년들이 언제나 자유롭게 모여 이야기하고 공동의 고민을 풀어가는 소통의 장 역할을 하고 있다. 수원 청년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정기 모임을 열어 서로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가 하면 1인 콘텐츠 제작부터 혼밥 만들기 등 분야별 전문가 특강이 열리기도 했다. 용인시는 올해 청년지원센터로서 역할을 할 임시 공간 2곳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수원시와 비슷한 청년거점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장기 계획도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약 100억원의 센터 설립 비용이 예상되는 만큼 용인 특성에 맞는 부지 선정과 활용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