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교육시민포럼 관련 토론회 열어
교육협력지원센터, 용인교육백서 등 제안

지난 20일 용인시청 컨벤션홀에서 용인교육시민포럼과 용인시, 용인교육지원청, 새로운경기위원회, 정춘숙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동으로 주최한 ‘용인 혁신교육지구 지정과 경기도 교육혁신을 위한 토론회’가 열려 관심을 모았다. 
이번 행사는 이재정 도교육감이 그간 시범적으로 추진해왔던 혁신교육지구를 경기도 전 시·군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설명과 취지, 타 지자체 모범 사례, 용인시 지정 시 기대 효과 등을 나누는 자리였다. 

경기도 혁신교육지구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교육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약으로 지정한 지역’이다. 혁신교육지구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개념인 ‘마을교육공동체’는 마을, 교육청, 지자체, 시민사회, 주민 등이 협력하고 지원하고 연대하는 교육공동체라는 의미다. 
경기도교육청은 2011년 광명 구리 등 6개 지자체를 혁신교육지구로 지정한데 이어 2016년 이후 꾸준히 군포 화성 성남 고양 안성 등으로 확대해 현재 31개 지자체 중 16곳에서 혁신교육지구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다행복교육지구(부산), 교육혁신지구(인청) 등 다양한 이름으로 10개 시도에서 100개 지구를 지정해 운영 중이다.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중 44%를 차지해 혁신교육지구가 전체적인 교육 흐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좋은 취지에서 시작한 혁신교육지구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선 지역사회와 기관들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강하다. 

20일 열린 토론회에서는 용인이 준비해야할 과제들에 대한 조언이 이어졌다. 김원근 성남시 성남형교육지원단장은 “혁신교육지구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학교, 지자체, 교육청, 시민단체, 주민 각각이 사업에 대해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며 “그간 혁신지구를 운영해온 지자체들을 보면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부터 교원 업무 증가로 인한 불만, 담당자의 잦은 이동 등이 장애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김 단장은 특히 “혁신지구 지정 전 민·관·학이 거버넌스를 이뤄 준비 실무팀 구성, 타지자체 사례 탐방, 교육협력지원센터 구성 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교육협력지원센터와 혁신교육협의회 구성, 시민단체 거버넌스 운영 등 구체적인 사례도 제시됐다.  
혁신교육지구 추진 초기부터 운영을 시작했던 오산시의 경우 시청과 교육청의 중간지원조직으로 ‘오산혁신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해 주목 받은 바 있다. 이후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되는 지자체들이 앞 다퉈 센터를 설립해온 점을 미뤄볼 때 용인 내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 시장과 교육장이 공동대표로 학부모, 교직원, 시민, 교육전문가 등이 위원으로 구성되는 혁신교육협의회, 시민단체가 △교육협력 △마을교육공동체 △평생교육 △학생 분과 등으로 구성해 실제 교육정책에 반영할 제안을 적극적으로 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대부분 학교와 지자체, 교육당국, 시민이 협의점을 찾고 현안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장을 다방면으로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용인교육시민포럼 원미선 대표는 “용인시가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되면 학생과 학부모 의견이 적극적으로 수렴돼 용인 교육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그러기 위해 먼저 <용인교육백서>를 만들어 용인과 인근 지자체 관련 통계와 현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또 각 기관과 학부모·학생 모두가 동등한 협업의 파트너로서 정책을 제안하고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