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규모의 시의원을 선출한 이번 전국동시지방 선거 역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약진, 다수당을 차지하게 됐다. 전체 26명의 지역구 의원과 3명의 비례 대표를 선출하는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은 기흥구에서 8명을 배출하는 등 지역구에서 총 16석을 차지했다. 자유한국당은 처인구와 수지구에서는 대체로 균형을 맞췄지만 기흥구에서 민주당 전체 당선자의 절반인 4명에 머무는 등 10명이 의회에 입성했다.
이외 민주당과 한국당 비례대표 각각 2명과 1명까지 합치면 8대 용인시의회는 민주당 소속 의원 18명, 한국당 11명으로 구성된다. 

처인구, 표심 이동, 여야 의석수에는 영향 주지 않아

​​

처인구 3개 선거구 표심 역시 더불어민주당으로 쏠렸다. 하지만 개표 결과만 두고 보면 7대 의회 의석수와 변동 없이 여4·야3 구도이다. 가 선거구에서는 지난 6대 선거에서 1위로 당선된 한국당 이건영 후보가 이번 선거에서는 4위로 낙선한 반면 비례대표로 의회에 입성한 김상수 후보가 이 선거구에서 간신히 3위로 당선됐다. 7대 시의회에서 의정활동비 전액을 기부해 관심을 받았던 더불어민주당 이제남 후보가 40.4%를 득표해 2위를 차지한 같은 당 안희경 후보보다 9400여표를 앞서며 압도적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김상수 후보는 이 후보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만여표를 득표했다. 

4년전 이 선거구에서 유일한 여당 후보로 당선됐던 이건영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는 상대적으로 표심 공략에 한계였던 기호 ‘나’번에 발목이 잡혀 4선 고지에 오르지 못했다. 이 후보는 4년 전 6대 지방선거에서는 1만3800여표 득표율 33.22%로 1위로 당선됐다. 
바른미래당 윤영종 후보는 4%를 득표한 반면 민주평화당 김무현, 대한애국당 김희자 후보는 각각 1.2%, 0.6% 수준을 보여 정치신인으로 한계를 여실히 보여줬다.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홍민선 후보는 이들 두 정당 소속 후보보다 높은 1.3%를 득표했다.  

1여3야 구도로 치러진 나 선거구는 큰 이변 없이 거대 양당이 전체 득표의 80%를 차지하며 의석을 하나씩 챙겨갔다. 

재선에 도전한 더불어민주당 남홍숙 후보는 전체 유효표 중 49%를 득표해 35.4%로 2위를 차지한 자유한국당 이진규 후보와 함께 의회 입성에 성공했다. 두 후보 간에는 3100여표가 차이 난다. 남 후보는 4년 전 열린 지방선거에서 27.3%를 득표해 2위로 당선됐다. 

남홍숙 후보는 선거구 모든 동에서 득표율 1위를 차지했지만 이동읍과 남사면에서는 2위를 차지한 이진규 후보와 득표율에서 1% 가량 차이를 보이며 박빙 경쟁을 펼쳤다. 특히 남사면에선 표차가 63표에 머물 정도로 팽팽한 접전이었다. 
바른미래당 안진선 후보도 13%를 득표해 선전했지만 당선권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기호 6번 무소속 김남북 후보는 유효표 600표를 얻어 현실 정치의 높은 벽을 넘지 못했다. 

처인구 후보 중 가장 많은 득표율이 나온 선거구다. 민주당 후보로 나선 김진석 후보는 전체 유효표의 50%를 득표해 압도적인 1위로 당선됐다. 6대 선거에서 같은 당 후보로 나선 최원식 현 의원이 25.9%로 2위로 당선된 것과 비교하면 4년 여 만에 두 배 가까이 더 받은 것이다.  

2014년 선거에서 전체 42%를 득표, 1위로 당선된 한국당 박원동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는 7% 가량 누수가 생겨 35.4%로 2위에 머물렀지만 3선 고지에 성공했다. 처인구에서 한국당 지지도가 4년만에 20% 가량 빠진 것을 감안하면 박 후보는 선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 바른미래당 후보로 나섰던 심재호 후보는 13%를 득표했다. 4년 전 무소속으로 출마해 득표율 6%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어났지만 3위에 머물러 낙선 6전7기에 나설지 관심을 가져볼만하다. 민주평화당 유태권 후보는 전체 393표를 얻어 군소정당의 한계를 여과 없이 보였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