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에 거주하고, 전·월세 보다는 자기 집을 갖고 있는 시민들의 비율이 60%에 달한다.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중 20대 1인 가구 비율이 21%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던 2016년. 복지 교육 문화 여가 주거 교통 등에 대해 용인시민들이 느끼는 용인시와 삶은 어떨까. 용인시가 지난해 8월29일~9월12일까지 용인시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1600가구를 대상으로 면접 조사한 2017 용인시 사회조사 결과를 살펴봤다.<그래프 참조>

◇사회복지 우선 지원분야로 ‘출산·보육지원’ 꼽아
복지와 관련, 사회복지 우선 지원 분야에 대한 질문에 출산·보육지원이라는 응답자가 44.9%로 가장 많았고, 노인복지사업 확대(34.9%)가 뒤를 이었다. 구별로 보면 기흥구(49.0%)와 수지구(44.8%)는 ‘출산·보육지원’을 우선 지원 분야로 꼽은 반면, 처인구(40.7%)는 ‘노인복지사업 확대’라고 응답해 지역별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노인복지사업 지원 분야에 대해 ‘간병·목욕서비스(21.8%)’와 ‘취업알선(21.6%)’이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고, ‘건강검진(19.6%)’도 높게 나왔다.
노후 준비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70.2%가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처인구는 64.8%만이 ‘준비를 하고 있거나 돼 있다’고 답해 차이를 보였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은 이유로 24.1%가 ‘준비할 능력이 없다’가 가장 높게 나왔다.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다(21.3%)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현 거주지 거주기간은 ‘5년 미만(33.6%)’이 가장 많았고, 10년 이상 거주자는 전체의 46.3%를 차지했다. 10년 후 거주 의향을 묻는 질문에 60.6%는 계속 거주할 의향(매우 그렇다와 어느 정도 그렇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 거주지에 대해 소속감이 ‘다소 있다’는 5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별로 없다’도 36.6%로 나타나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필요한 공공시설에 대한 조사에서는 ‘공원, 녹지, 산책로’ 수요가 31.1%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공공병원·보건소 등 보건의료시설 29.3%로 나타났다. 문화예술회관(16.5%), 사회복지시설(16.1%), 공영주차장(15.7%) 등에 대한 요구도 높은 평이었다. 통근·통학지역으로는 ‘거주 시군 내’가 48.8%에 이르렀지만 도내 다른 시군(27.7%)과 서울(19.9%)로 통근·통학하는 시민도 적지 않았다.

◇대중교통 택시보다 버스에 대한 불만 커
대중교통 중 택시 이용만족도는 ‘보통’이 37.1%로 가장 높았고, ‘불만족(21.9%)이 ’만족(13.3%)‘보다 더 높았다. 버스에 대한 불만족(34.1%)이 택시보다 비율이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기흥구 거주자의 불만(41.7%)이 가장 높았다. 버스 이용시 개선사항으로 ’버스노선 부족, 불편‘이 56.6%에 달했는데 3개구 모두에서 높게 나왔고, 이어 ’배차간격이 길다‘는 응답은 43.4%였다. 배차간격에 대한 불만은 기흥구가 가장 높았다.

공연 및 스포츠 관람 여부를 보면, 수지구(71.5%)>기흥구(63.4%)>처인구(53.1%) 순으로 나타났다. 주말이나 휴일의 여가 활용 내용을 보면 ‘TV시청’이 53.3%로 가장 높았고, 휴식활동이 30.4%로 뒤를 이었다. 여가생활 만족도는 만족(28.3%)과 불만족(24.3%)이 비슷했다. 여가생활 불만족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 때문’이라는 응답(38.6%)이 가장 많았고, ‘시간이 부족해서’라는 답도 32.2%로 높은 편이었다.

응답자의 71.9%가 관광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관광지 선택 이유는 ‘다양한 볼거리(46.7%)’가 가장 높았고, ‘관광지 지명도(24.7%)’, ‘이동거리 및 교통편 용이(18.4%)’ 순으로 나타났다. 관광정보 등 개선시 우선 사항으로는 ‘다양한 채널의 관광정보 제공’이 3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바가지요금 근절(25.8%)’, 숙박시설 개선 및 확충(24.0%)이 뒤를 이었다.

◇생활비 중 부담스런 지출항목, 주거비>식료품비>교육비 순
용인시민들의 소득은 얼마나 될까. 월 평균 가구소득을 구간별로 보면, 200~300만원 미만이 18.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300~400만원 미만(16.6%), 400~500만원 미만(15.1%) 순으로 조사됐다. ‘월 평균 1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자는 10.8% 였고, ‘7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도 10%였다. 지역별로 보면 처인구는 200~300만원 미만(20.9%)과 100만원 미만(19.3%)이 가장 많았고, 기흥구는 300~400만원이 19.1%로 가장 높았다. 반면 수지구는 200~300만원 미만(17.9%)과 400~500만원 미만(17.6%) 구간이 가장 높았다. 특히 수지구는 700만원 이상 응답자가 15.7%로 고소득자 비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분배에 대한 공평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약간 불공평’이 40.7%로 나타났고, ‘매우 불공평’은 24.0%로 용인시민 10명 중 7명은 소득분배가 불공평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생활비 중 가장 부담스러운 지출 항목에서 ‘주거비’가 23.8%로 가장 높게 나왔고, 이어 식료품비 21.3%, 교육비 20.8%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처인구는 식료품비(27.8%)와 보건의료비(21.2%)를 부담스러워 했고, 기흥구는 주거비(22.7%)와 식료품비(21.9%)를 꼽았다. 수지구는 교육비(29.9%)와 주거비(28.2%)를 가장 부담스럽게 생각했다.

사회통합과 공동체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해 조사한 삶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만족(32.8%)’이 ‘불만족(18.6%)’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생활권별 성별 연령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본인이 속한 사회적 계층에 대해서는 ‘중하’ 평가가 42.9%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중상’ 35.5%, ‘하상’ 13.3% 순이었다. 생활권별로 ‘중상’이라는 응답은 처인구(24.6%)와 수지구(41.8%) 간 큰 차이를 보였다.

자원봉사 참여 경험을 묻는 질문에 ‘없다’는 응답이 79.9%로 나타났다. 있다는 응답은 여자(22.5%), 15~19세(64.6%)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 경험자의 참여 횟수는 기타 일반인을 위한 봉사 관련이 10.1회로 가장 높았고, 이어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재소자 등과 관련한 경험이 7.4회, 환경보전·범죄예방 등과 관련한 경험이 5.2%로 각각 조사됐다. 후원금 기부 경험이 ‘있다(30.8%)’가 ‘없다’보다 2배 이상 적었다.

일자리와 관련, 직업선택 요인에 대한 조사 결과 ‘안정성’ 요인이 26.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수입’ 24.9%, ‘장래성·발전성’ 19.5% 순이었다. 일자리 창출 우선 분야로 ‘일자리 발굴사업’ 분야가 30.7%로 가장 높았으며 ‘취업알선’ 19.6%, ‘창업 등 지원’ 16.6%, ‘직업훈련’ 15.5% 순으로 조사됐다. 경력단절 여성(직장에 다닌 경험) 비율은 81.0%였다.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임신, 출산’이 32.9%로 가장 높았고, ‘결혼’과 ‘육아’가 각각 29.8% 29.7%였다. 경력단절 이후 직장에 다시 다닐 의사를 묻는 질문에 ‘다시 일할 생각이 있다’는 응답이 76.9%로 나타나 직업에 대한 욕구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살기 좋은 도시정책, ‘도로·교통시설 정비’ 비율 더 높아져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정책으로 ‘도로·교통시설 정비’가 29.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사회복지정책 21.3%, 주택정책 14.2%, 교육시설 확충 12.6% 순으로 조사됐다. 비율에 차이는 있었지만 2016년 조사 때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용인시 공공서비스 이용 경험자 중 업무 친절도에 대한 만족도는 53.5%, 업무처리의 신속성 만족도는 51.2%, 업무에 대한 전문성 47.1%, 공정성은 47.8%가 각각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시정 정보 습득 경로는 홍보물 34.8%, 언론 21.8%, 가족이나 이웃 15.8% 순으로 조사됐다.

전통시장 시설물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는 ‘보통’이 63.4%로 나타났고, ‘나쁘다’는 응답도 26.7%로 조사돼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전통시장 위생·환경 만족도 평가에서 ‘좋다(9.2%)’는 응답보다 ‘나쁘다(20.3%)’는 응답이 2배 이상 높았지만, 상인 친절도에서는 좋다는 응답이 15.2%로 나쁘다는 응답 8.4%보다 높았다.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으로는 주변시설 개보수 및 시장 시설물 현대화가 42.8%에 달했고, 특성 있는 거리 만들기 18.1%, 품목 및 시장형태에 대한 전문화와 특화 13.8%로 뒤를 이었다.

임산부 배려 우선 사항으로 ‘일 가정 양립제도 활성화’에 대한 응답이 60.1%에 달했고, 맞벌이 부부를 위한 보건소 이용시간 연장 등이 20.4%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