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 대신 분양·기증 우선

용인시·동물보호단체 긴밀 협조
시립 보호센터 설립도 한 몫

지난해 용인시 유기동물 77%가 원소유주 인도나 분양·기증을 통해 주인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 유기동물 처리는 지역 동물보호단체 형성과 본격적인 활동, 시의 관련 인력시설 확보로 많은 변화를 이뤘다. 시와 동물단체 간 긴밀한 네트워크가 유기동물이 주인 품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한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여기에 2014년 개를 대상으로 시작된 ‘반려동물등록제’도 유실·유기를 줄이는데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2013년 용인시 유기동물은 총 1055마리로 이중 인도와 분양·기증은 총 706마리, 66% 수준이었다. 안락사는 151마리(14.3%), 자연사 107마리(10.1%), 고양이의 경우 중성화수술 후 방사하는 방식으로 처리해 한 해 동안 91마리가 방사됐다. 

지난해 용인시 유기동물 총 개체수는 851마리다. 이중 전염병 등 회생이 힘든 심각한 상태의 동물을 대상으로 이뤄진 안락사 처리 두수는 13마리로 전체 개체 수 대비 1.5%에 불과하다. 자연사한 동물은 73마리(8.5%)였으며 원소유주 인도는 114마리, 시 자체 분양은 136마리, 기증(동물단체를 통한 분양)은 405마리로 총 655마리(77%)가 주인을 찾았다. <표 참조> 불과 4년 만에 확연한 변화를 보인 것이다. 특히 전체 유기동물 수 감소는 물론 안락사, 자연사 비율은 낮아지고 주인을 찾는 비율은 높아졌다.

유기동물 처리가 이처럼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이유는 2013~2014년부터 본격 활동을 시작한 용인시동물보호협회, 캣맘협의회 등 지역 동물 보호 단체 활동과 지난해 초 설립된 용인시동물보호센터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시동물보호센터와 민간단체 간 긴밀한 네트워크와 상호 협조가 힘을 발휘했다. 

용인시는 자체 동물보호센터를 세우기 전 위탁보호소를 통해 유기동물을 처리해왔다. 이후 2017년 1월 처인구 삼가동에 지상 2층 규모의 동물보호센터를 짓고 자체 담당인력으로 운영해오고 있다. 

현재 시동물보호센터는 유기동물 신고가 들어오면 동물을 포획해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입소시키고 공고 후 10일이 지난 동물에 대해 자체 입양, 단체 기증 또는 장기보호를 하도록 하고 있다. 공고기한 이후 안락사 조치를 취하는 기존 방침과 다른 부분이다.

용인시동물보호센터가 유기동물에 대한 방침을 이같이 바꾼 데에는 지역 동물보호단체의 힘이 컸다. 2013년 입소 후 65%를 방사했던 고양이는 지난해 시동물보호센터와 용인시캣맘협의회 등을 통해 70%가 새 주인을 찾았다.

2013년 용인시유기동물사랑방으로 시작한 용인시동물보호협회(이하 용보협)는 유기동물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유기견 관리에 힘을 쏟고 있다. 용보협은 사료 등 비품, 각종 병원비, 봉사자 모집, 입양 등을 시민 후원을 받아 운영한다.

입양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희망자와 연결된다. 용보협이 자체 소셜네트워크망을 통해 유기동물에 대한 정보를 올리면 입양을 원하는 각지 희망자들과 연결해주는 방식이다. 국내입양이 어려운 중·대형견의 경우 해외입양을 진행한다. 해외로 직접 유기동물을 전달하는 역할 역시 용보협 해외입양팀이 맡아 하고 있다.

용보협 기미연 대표는 “용인시 유기동물 사업이 원소유주 인도는 물론 분양과 기증 중심으로 이뤄질 수 있었던 이유는 단체 회원들과 시의 협조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특히 그동안 주변 주민 반대로 지연돼 왔던 시립 보호센터가 지난해 세워진 이후 시 관계자들이 센터 운영에 관해 용보협을 비롯한 지역 동물 보호 단체의 의견을 적극 수용해줬다. 1년여가 지난 지금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용인시 자체 처리 방침이 안정 단계에 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풀어야할 숙제는 많다. 유기동물이 주인을 찾기 전까지 이들을 보호하고 치료하는데 많은 시간과 예산,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 시동물보호센터에는 현재 최대 수용 두수를 40%정도 초과한 유기동물들을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동물 발생 건수를 줄이기 위한 반려동물 의식 개선 등 노력도 함께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 동물보호센터 관계자는 “최근 동물등록제를 개에서 고양이로까지 확대하고 홍보를 강화하는 등 유실·유기동물 발생 예방을 위한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반려동물 관련 사업 역시 동물생명존중 의식을 높이는 등 올바른 문화 정착을 위한 계기 마련을 목적으로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