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단체 회원 휴대전화 무방비 노출
보이스피싱·대출 등에 악용될 수 있어

지역 전화번호부나 동문회 명부에 나오는 주소와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대출 등의 상업용이나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O업체는 최근 업종과 상호명을 실은 2018년 용인시 전화번호부를 발간, 빌딩이나 상가 등의 우편함에 무작위 배포했다. 이 업체가 제작한 전화번호부에는 업종별 업체명과 주소(일부 지번 또는 도로명 주소가 있는 경우가 있음), 일반 전화번호가 적혀 있다.

문제는 지역에서 발간하는 전화번호부다. 지역 전화번호에는 각 마을 이장과 새마을지도자, 부녀회장, 노인회장 등의 이름과 개인 휴대전화번호가 모두 담겨 있다. 특히 지역 단체장뿐 아니라 각 마을 주민들의 집 전화번호와 일부는 개인 휴대전화번호까지 노출돼 있다.

백암면 주민자치센터에서 만난 한 주민은 “개인 이름과 전화번호를 어떻게 알았는지 의문”이라며 “농촌지역은 전화번호부를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특히 “면지역은 인터넷을 하는 노인들이 적고 인터넷을 할 줄 안다 해도 특정 사이트에 가입하지 않을 텐데, 어떻게 대출광고나 보이스피싱 등의 전화가 걸려오는 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지역 전화번호부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했다.

이장협의회가 발간한 것으로 보이는 2017 양지면 전화번호부에는 지역업체 상호와 전화번호뿐 아니라 각 마을 이장 등 지역단체장 이름과 휴대전화뿐 아니라 휴대번호가 적힌 양지면 체육회 임원과 이사 명단, 각 마을 주민 이름과 전화번호가 실려 있었다.

이에 양지면 전화번호부에 이름이 실렸다는 이모 씨는 “전화번호부에 실린 사람들은 모두 본인이 동의하거나 원해서 실린 건지 궁금하다”며 “개인정보를 빼내 범죄에 악용하는 사례도 많은데 굳이 모든 사람들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담긴 책자를 만들어 주민들에게 배포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씨는 특히 “필요하면 지인을 통해 전화번호를 얻어내면 되는데 원치 않는 사람에게 나를 포함해 주민들의 개인정보가 담긴 전화번호를 제작해 배포한다는 것은 상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밖에 해석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노인인구가 많은 농촌지역의 경우 개인정보 유출에 취약한 실정임을 감안해 사생활 보호는 물론, 범죄에 이용되지 않도록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성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