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5만여명 입주 예정, 교통망 개선 시급

사업승인 반려 8개월만에 동백지구 아파트에 대한 사업승인이 나자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은 지난달 25일 일제히 모델하우스를 오픈하고 분양에 나섰다. 분양에 나선 건설업체들은 동백지구가 환경신도시의 완성이라며 생태환경과 교통환경 주거환경 개발환경 등 네박자를 고루 갖춘 최고의 신도시가 될 것이라고 광고하며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중앙일간지를 비롯해 경제지 지방일간지 등도 이에 가세해 건설업체에서 제공하는 자료에 의존, 최적의 생활환경과 최고의 투자처 등 동백지구 띄우기에 나섰다. 심지어 투기를 부추기는 듯한 인상의 기사를 내보내 기사인지 광고인지 분간이 안돼 소비자들을 현혹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업체들이 작년에 정했던 예정분양가보다 평당 100만원 가량 높게 책정해 분양가를 매긴 데다 업체간 분양가 차이가 크지 않아 분양가 담합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99년 2월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된 이후 4년6개월에 본격 착공하게 되는 동백지구. 성산을 끼고 구성읍 동백·중리 일원 100만평(33만8000㎡)의 땅에 1만6660가구 5만1646명이 입주할 예정인 동백지구는 죽전지구 다음으로 가장 큰 규모의 대규모 택지개발이라는 데서 오래 전부터 노른자위로 손꼽혀 왔다.

하지만 건설업체들이 광고하는 것처럼 좋은 주거여건과 생태환경을 갖추고 있을지는 몰라도 현재로서는 좋은 교통여건과 높은 투자가치가 될 지에 대한 전망은 낙관보다는 비관이 더 우세한 상황이다. 왜 그런가.

낙관론보다 비관론 더 우세

서북부시민연대 등 주민단체와 부동산 업계에서는 동백지구의 가장 큰 문제로 교통난을 꼽고 있다. 100만평 규모의 대규모 택지개발을 하면서 광역교통망을 전혀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서북부지역 주민단체 등은 교통대란이 우려되는 광역교통망 없는 동백지구 아파트 사업승인과 동백-죽전간 도로(4차선·4.4km)의 죽전 연결을 반대하며 크게 반발해 왔다. 시의회도 “동백지구와 관련해 광역교통망 확보 없이 사업승인은 있을 수 없다”며 ‘선 광역교통망 확보, 후 사업승인’을 강력 촉구하는 등 동백지구로 인한 교통난에 우려를 나타냈다.

조선미 의원은 “토지공사가 시에 제출한 동백지구 개발에 따른 교통영향평가 사전검토 보고서에서 영동고속도로와 IC개설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광역교통체계와 인근 도시 접근성을 검토해 방안을 제시할 것 등의 검토의견을 내놓았는데 제대로 반영된 게 없다”고 지적했다.

11개 업체의 아파트 사업승인이 나자 서북부시민연대(아래 서부연)는 “동백지구 입주자들이 동백∼죽전도로를 이용할 경우 서북부지역 전체가 심각한 교통정체가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에도 시민단체와 주민들의 여론을 무시한 채 사업승인을 강행한 용인시는 무책임한 행정처리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서부연은 “죽전택지지구 분양시 건설사들은 동백∼신림간 광역교통망 도로 계획을 대대적으로 광고하면서 교통의 편리성을 강조하고 높은 분양가를 책정했다”며 “그러나 죽전지구 분양 당시 이 광역교통망 도로가 분당을 관통해야 하는 문제로 현실성이 없어 도로계획이 취소되었음에도 분양시 광역교통망 도로가 건설되는 것으로 홍보했다”고 지적했다.

광역교통망 없어 교통대란 우려

동백∼죽전도로의 성남시 접속과 함께 교통을 분산시킬 수 있는 광역교통망이 개설되지 않을 경우 죽전사거리와 풍덕천사거리 교통정체 악화는 물론 서울로 진입하는 모든 도로에서 정체가 빚어질 것이라는 게 서부연 등 단체와 주민들의 주장이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건설업체들은 경전철이 동백지구를 지나고 분당선이 개통되면 도로이용자들을 상당수 흡수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더욱이 주변도로를 이미 확장했거나 확장계획에 있기 때문에 심각한 교통난은 피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아파트 건설업체들은 시와 체결한 이행계획 협약서 대로 △동백∼갈곡(구갈3지구)간 도로(2→6차선)를 확장했으며 △동백∼국도 42호선(삼가동)간 도로(2→4차선)는 내년 3월까지 확장하고 △동백∼죽전(4차선 신설)은 2005년 12월 △동백∼삼막곡(2→6차선 확장 및 신설)간 도로는 입주전인 2005년 12월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거듭 밝히고 있다.

하지만 동백∼죽전 도로는 당초 6차선 자동차전용도로에서 4차선 일반도로로 바뀐 데다 성남시에서 도로접속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이 도로의 분당접속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최근 성남시는 동백∼죽전도로의 성남시 접속을 사전에 봉쇄하려한다는 의혹을 받으면서까지 도로 접속지점에 조경석을 쌓는 등 녹지조성공사를 벌이고 있다.

또 경전철과 분당선 연장선은 버스 등의 대중교통 이용을 흡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서울 등지로 출·퇴근하는 동백지구 입주자들이 얼마나 경전철과 분당선을 이용할 지에 대해서도 그리 낙관적이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특히 경전철과 분당선 모두 2007년, 늦으면 2008년에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1∼2년은 도로를 이용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론 아랑곳 과대광고 소비자 현혹

이런 가운데 동백지구의 아파트 건설업체들은 사실과 다르거나 과장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실제 이들 업체들은 최고의 입지조건, 생활편리, 최적의 주거공간, 최고의 조망권 확보, 자연친화적인 시설 등으로 동백지구를 최적의 신도시로 광고했다. 대부분의 업체들은 그러나 입주요건 중 가장 중요한 교통여건에 대한 광고는 아예 없거나 간략하게 취급했다. 이들 업체가 낸 공동광고에서는 죽전지구 사업승인 때부터 계획돼 있는 동백∼신림간 도로가 예정돼 있는 것처럼 광고했다.

일부 업체들은 교통여건과 관련 과대광고를 하기도 했다. S건설 등은 광역교통망뿐 아니라 교통에 대한 언급을 전혀 하지 않았으며 K건설은 동백지구 조감도에 동백∼죽전도로가 4차선 일반도로로 바뀌었음에도 자동자 전용도로로 표기해 소비자들을 현혹했다. M건설은 광역교통망으로 영동·경부고속도로 이용, 분당고속화도로 신설, 42번 국도 확장 등을 광고했다.

중앙일간지를 비롯해 경제지 지방일간지 등은 모델하우스 개장 때부터 앞다퉈 연일 동백지구 아파트 띄우기에 나섰다. 최근 KBS의 ‘미디어 포커스’는 동백지구 아파트 분양관련 광고가 90여건이었으며 신문들은 기사인지 광고인지 분간하기 힘든 기사를 연일 쏟아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분양전 동백지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던 신문들은 분양광고가 나가면서 교통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거나 매우 짧은 대신 최고의 투자처, 최적의 주거공간 등의 동백지구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심지어 동백지구가 높은 투자가치와 용인권에서 마지막으로 개발되는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라며 높은 시세차익이 기대된다며 투기를 부추기기도 했다.

이와 관련, 서부연은 “소비자가 입주할 아파트를 결정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교통의 접근성인데 건설사들이 사실과 다른 도로계획을 이용하고 있는 것은 사기분양의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분양가 인상 담합 의혹

많은 투자자들이 기대했던 동백지구에 대한 뚜껑이 열리자 당초 예상과 달리 투자자들이 몰리는 현상은 없었다.

이 같은 현상은 청약경쟁률에서도 그대로 반영됐다. 1차 동시분양 일반 1순위 경쟁률이 평균 3대1에 머물렀으며 그나마 40평형대 이상은 건설업체 구분 없이 대거 미달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2순위 역시 2.8대 1에 그쳤으며 일부 아파트는 2순위에서도 미달을 면치 못했다.

이같은 결과는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동백지의 분양권 전매 금지 영향 때문이기도 하지만 분양가가 턱없이 높아진 것도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부동산업계에서는 10만명에 육박하는 사람들이 모델하우스를 방문했음에도 경쟁률이 낮거나 미달사태가 빚어진 것은 입주 때까지 분양권 전매가 금지된 데다 분양이 1년 가까이 지연되면서 평당 분양가가 100만원 가량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10월 예정분양가 평당 600만원 선과 비교하면 평당 100만원 정도 높아졌다. 동백지구 바로 옆에 분양한 W아파트 분양가보다 100∼140만원 높은 가격이다. 이 때문에 부동산 전문가들은 “같은 지역에서 나오는 아파트라고 해도 분양가가 일률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에서 결정된 것은 가격을 담합했기 때문이 아니겠냐”며 건설업체들의 담합 의혹을 제기했다.

업체들은 사업승인 지연에 따른 금융비용 때문에 분양가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동백지구 분양을 신청했거나 포기한 주민들은 “사업지연에 따른 금융비용을 소비자들에게 떠넘기는 것은 서민들을 위한 주택공급이 아니라 투기자들만 배불리게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며 업체들을 비난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