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발생과 상관관계 찾기 힘들어
소독약 대체할 수 있는 방안 마련해야

최근 살충제 성분 검출 달걀로 축산 사육실태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용인시가 축산농가에 매년 지원하는 소독약이 7톤을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용인시가 밝힌 2009년 이후 최근까지 용인시 관내 축산농가 방역물품 지원 현황 자료를 확인한 결과, 지난해까지 용인시 관내 축산농가에 총 59톤 가량의 소독약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같은 기간 축산농가에 생석회 1200톤이 지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소독약 사용 타당성이다. 용인시를 통해 받은 연도별 소독약 지원 현황 자료를 보면 2010년 전체 축산농가에 13톤을 지원해 가장 많았으며, 2015년 10톤 이상을 지원해 뒤를 이었다. 당시 용인에는 여섯 농가에서 결핵, 한 농가에서 브루셀라가 발생해 94두를 살처분 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에는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발생한데 이어 용인에서도 4년 만에 구제역이 발생해 농가 11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으며, 이외 농가 다섯 곳에서 기타 전염병이 발생해 9192두를 살처분 한 것으로 파악됐다.

2009년 이후 용인에서 가장 심각한 전염병이 발생했던 2011년 당시 용인에서는 67개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11만3000여두를 살처분했다. 그런가하면 1농가에서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로 19만2000여수 역시 살처분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하지만 당시 용인시가 축산농가에 지원한 소독약은 4톤에 불과하다. 방역품으로 빠지지 않는 생석회 역시 2009년 이후 가장 적은 60톤이 지원된 것으로 확인됐다. 2012년 관내 14개 농가를 대상으로 지원된 발판 소독조 역시 2011년에는 지원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가 공개한 자료만 두고 본다면 용인시의 방역물품 지원과 전염병 방역 간상관관계는 크게 없어 보인다.

방역물품 사용량도 우려된다. 용인시에 따르면 시가 지원한 방역 물품은 사실상 최소 수준이다. 이 물량은 용인시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용인시 3개 구청이 제설용으로 사용한 염화칼슘 전체 물량 7400여톤의 20%에 약간 못 미친다.

최근 가축 전염병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인 점을 감안해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구입해 사용하고 있는 물량까지 합치면 한해 동안 사용되는 방역물품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소독약 유해에 대한 지적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소독약 성분 자체도 문제지만 전염병이 발생했을 경우 일부 지자체에서는 안전 기준 등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소독약 사용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이유다. 

일각에서는 최근 발생한 살충제 성분 검출 달걀 역시 대규모 밀집 사육에 따른 것으로 축산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한 양돈농가 관계자는 “대규모 밀집 사육을 하다 보니 전염병이 발생하면 피해가 매우 심각해져 사전 예방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면서 “소독약이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살충제도 농민들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강변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