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에서 한해 적게는 천단위에서 많게는 만단위의 소상공업체가 생겨나고 이들 중 40% 가량은 3년 내에 폐업을 하는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목소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간절해졌다. 하지만 정작 소상공인들은 체계적인 지원을 받기 위한 전문기관 마저 없는 상황이라 용인 내 소상공인들은 관리는 고사하고 각종 지원을 받는데도 한계가 많다.

대표적인 소상공인 지원기관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경우 경기‧인천지역본부를 두고 있다. 각 지역별로 15곳의 센터가 130만1000여개(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자료) 업소를 감당하고 있다.

100만 대도시 중 지원센터가 없는 용인시의 경우 수원센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수원시 소상공인 8만여명까지 합치면 광역시급에 버금가는 14만여명을 감당해야 한다.

수원시와 용인시와 소상공인 수가 비슷한 광주광역시와 대전광역시는 각각 3곳과 2곳의 지원센터를 운영하는가하면, 경기도 전체 소상공인 업체 수의 절반 수준인 광주‧호남지역본부 산하로 11개의 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이를 보면 경기도 전체 소상공인들이 센터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최대 종사자수와 직계가족, 관련업체까지 더하면 소상공업계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한 수준이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수원센터 장태옥씨는 “수원과 용인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최근 용인도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해 분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기흥구 한 신설 건물에서 3달가량 휴대전화 판매점을 운영했다는 한 자영업자는 “이 업계에서 흔히 3년만 넘겨도 장사 잘 한 것이라고 말한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 자리 잡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일부 잘되는 곳을 보면 부럽기고 하고 다시 장사를 하고 싶지만 여력도 자신도 없다”고 하소연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