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도심 균형 발전, 공공기관 부족 두 마리 토끼 잡아야...“학교 통합 부지 활용…옛 경찰대 부지 여전히 ‘핵심’”

용인시 인구증가는 곧 기흥구의 인구증가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고봐도 무방하다.

실제 2005년 기흥읍과 구성읍을 통합해 기흥구가 탄생될 당시만 하더라도 용인시 전체 인구는 70만여 명. 이중 기흥구 인구는 22만명을 조금 넘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현재 기흥구 인구는 2배 가량 늘었다. 반면 처인구와 수지구는 각각 3만4600명, 7만7600명으로 이두 지역 인구 증가분을 합쳐도 같은 기간 기흥구 인구 증가분의 절반 수준에 머문다.

결국 이 인구는 용인시인구 100만명을 돌파하는 결정적 이유가 된 것이다. 이는 용인시가 100만 대도시에 맞춰 행정개편 등의 대응책 마련을 마련하는데 기흥구의 외적 팽창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는 근거이기도 하다. 하지만 용인시가 독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그렇게 많아 보이지 않는다. 각종 공공기관 신설 민원은 이어지지만 당장 이에 대한 결정은 정부 차원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다 정부는 용인시의 인구증가에 방점을 두기보다는 ‘지역 안배’ 기준을 적용시켜 기흥구는 그야말로 행정서비스 부족에 목말라하며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인구비만’ 행정구가 되고 있다. 용인시가 공공기관 총량제에 밀리고 정책에 막힌다고 법 테두리를 벗어나 우리만을 위한 정책을 요구하는 것도 ‘특혜’일뿐 아니라 ‘생트집’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주민들의 불편을 담은 민원 강도는 점점 세지고 있다. 이에 기흥구 곳곳에서는 자생력 배양을 위한 각종 자구책이 ‘중구난방’식으로 흘러나오고 있다.

용인시는 기흥구 인구 증가에 맞춰 현 기흥구청을 증설해 각종 민원 정체현상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정작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도 역부족이다.보정동 등 원거리에 있는 구민들에게는 구청 건물 증설은 민원 편의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기흥구의 또 다른 문제점은 원도심의 공동화 현상이다. 지속적인 인구증가에도 기흥구를 대표하던 원도심은 오히려 쇠퇴했다. 실제 신갈동의 경우 2005년 이후 10년 동안 인구가 1만여명이 빠져 나갔다. 구갈동 역시 10년간 3000여명이 증가하는데 그쳤다.

옛 경찰대 부지‧학교 통폐합 자생력 키워야

용인시의 적절한 공공기관 배치와 상업지역 개발이 신도심과 원도심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맞춤 전략’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이에 기흥구 일부 시민‧사회단체에서는 지역 내에 위치한 학교 등 공공기관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구체적으로 내고 있다.

우선 신갈초 이전을 제시하는 의견이다. 기흥의 대표적인 원도심에 해당되는 신갈 5거리 주변에 위치한 신갈초를 인근 주변에 위치한 기흥중학교나 신갈중학교로 이전한 뒤 이 부지를 적극 활용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왕복 2차선 도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닿아 있는 이들 2개 중학교를 통합하자는 내용이다.

신갈초 부지는 현 기흥구청 전체 면적과 비슷한 정도인데다 골목길 수준의 도로를 사이에 두고 신갈보건소‧행정복지센터가 있어 기획방향에 따라서는 ‘기흥구 행정타운’ 설계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통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기흥중의 경우 학급당 평균 학생수가 24.5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4명 정도 적다. 반면 신갈중의 경우 학급당 학생 수가 전국 평균보다 3명 가량이 많다. 결국 1개 학교를 거점으로 통합, 신축 등의 추가 지원이 이어질 경우 상생할 수 있는 방안으로 충분할 수 있다. 다만 각 학교의 역사성과 학부모의 반대 의견 등을 고려할 경우 이 주장이 현실화 될지는 더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경기도청사가 들어설 정도로 부지나 시설이 탁월하고 판단했던 언남동 옛 경찰대 종전부동산도 기흥구 각종 민원 해결의 ‘열쇳말’이다. 애초 이 일대 활용 방안을 두고 분구를 감안한 행정기관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 것도 같은 이유다.

이 일대에 대규모 뉴스테이가 들어서는 것으로 확정돼 용인시 입장에서는 부지 활용 선택지는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지난해 정찬민 시장이 경기도청사 이전을 제안했을 당시 밝힌 ‘건립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재적용 시키면 기흥구, 나아가 용인시를 위한 다른 제안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외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한전), 서울우유 용인공장 이전에 맞춰 기흥구 공공기관 부족분 충족 및 원도심과 신도심의 발전을 맞출 수 있는 ‘촉매’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도 표면화 시켜야 할 때다.

무엇보다 ‘인구비만’ 기흥구가 규모에 걸맞은 행정 틀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설화된 민‧관‧정의 합의체 구성이 필수조건이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교 통합 이전 의견, 옛 경찰대 부지 활용 등의 의견 역시 현실화되기 위한 ‘첫걸음’이기도하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