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축소에 시 “사업 방향 전환 때문” 해명
“미래 내다보는 치매 복지 체계 만들어가야”

용인시치매예방관리센터 채움카페 모습

노인인구수와 치매 유병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음에도 용인시의 치매 관련 사업은 소극적이라는 본지 878호 ‘치매인구 느는데 관련 예산 줄인 용인시’ 기사와 관련한 시의 입장을 들어봤다. 처인구 보건소 질병관리팀 함미영 팀장은 “지난해와 올해 사업 방향을 다르게 잡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치매예방관리센터에서 채움 카페를 주 5일 운영했지만 올해부터는 주민센터 10군데를 정해 8주 단위로 돌아가면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운영비를 낮춰도 충분히 운영이 가능하다는 설명이었다.

함 팀장은 이어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에 중점을 둘 계획인데 검사 자체가 비용보다는 인력이 많이 들어 예산을 줄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선별검사를 위한 인력 충원은 없었다.

용인시는 전국 최초로 시작한 치매 행복 마을 3곳도 올해부터는 운영하지 않고 있다. 결국 기존 사업을 줄이는 대신 지역마다 8주간 만 ‘찾아가는 채움 카페’ 신규 사업을 하기로 하면서 예산이 줄어든 셈이다. 단순히 예산을 줄였다고 관련 사업에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치매 행복 마을은 용인시가 지난해 반응이 좋다며 3곳으로 확대해 운영한데다 다른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해 운영 중인 사업이다. 게다가 시는 올해 채무 제로를 선언하며 복지 예산을 늘린 바 있다.

치매는 수요가 점점 늘고 있는 복지 분야인데다 환자 한 명을 위한 사업이 아닌 가족을 위한 관리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시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던 사업을 접고 다른 사업 방식을 택하면서까지 사업 예산을 줄인 용인시의 선택에 아쉬움이 남는 이유다.

용인시는 치매예방관리센터를 타지자체에 비해 일찍 시작한 편에 속한다. 하지만 그 기간에 비해 사업 규모 확장은 더뎠다. 보다 많은 치매 환자와 가족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고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치매 관련 사업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지역으로 성남시를 꼽을 수 있다. 성남시는 시 자체 예산만으로 치매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치매 교육 및 프로그램 사업에만 연간 약 9억4000만원이 쓰인다.

성남시 노인보건센터 치매관리부 김병운 부장은 “2015년부터 치매 관리단인 ‘올리사랑’을 따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올리사랑엔 정밀 검진 임상심리사 2명, 선별 검진팀 6명, 치매 프로그램 작업치료사 7명, 연구조사 사업 인력 4명 등 치매 전문 인력이 갖춰져 있다. 치매 관련 인력을 기존 9명에서 24명으로 확충한 것이다.   

김 부장은 “그만큼 시의 의지가 많이 반영된 것이 아닐까 싶다”며 “치매라는 질병 자체가 환자 뿐 아니라 가족 모두가 아픔을 겪는 질병이다. 지자체 차원에서 나서야 한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매 환자나 가족이 센터에만 방문하기 힘들다. 성남시는 질 좋은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해 모든 지역에 보급하는데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 인력을 동원해 만들어진 인지재활 컨텐츠, 재활 매뉴얼은 노인복지관 등 성남시 노인관련 유관기관 65개에 모두 제공돼 성남시 전역의 60세 이상 노인들에게 보급된다. 단순히 1년 사업에 그치는 것이 아닌 장기적인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셈이다.

성남시 치매관리부는 1년에 4회 에 걸쳐 유관기관과 센터 관계자들이 모여 평가회의 갖는다. 환자와 가족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부족한 점은 없는지 실무자들을 통해 듣기 위해서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