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구성원들이 그 조직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에 따른 권한은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오늘날 조직 규모의 성장 발전은 필연적으로 분권화 모델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공식적인 권한과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는 것은 특정 활동을 실행하기 위해 리더가 가진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이양 또는 위임하는 것이다.

리더는 어느 조직에서나 자기에게 부여된 모든 과업을 직접 달성하거나 철저하게 감독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모든 과업의 업무 특성이 전부 다르므로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별로 전문가에게 맞기고 본인은 조직을 통제·감독하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스칼라원칙’에 의하면 조직운영이란 상급자로부터 하급자에게 이르는 일련의 직접적인 권한 관계를 말한다. 즉, 최고 관리직으로부터 모든 하급직에 이르는 일련의 계통이 분명하면 할수록 의사 결정에 대한 책임은 그 만큼 더욱 분명해질 것이며 조직의 의사소통은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칼라원칙을 명확히 이해한다는 것은 하급자들이 누가 그들에게 권한을 위임했으며, 그들의 권한 밖 일을 누구에게 보고해야 할 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직기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권한은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유재량권이고, 책임은 그 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임무이므로 권한의 양과 책임의 양은 항상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권한과 책임의 동등한 원칙이 지켜져야 하며 이양된 권한에 의해 내포된 만큼 책임이 더 클 수도 없고 더 작아서도 안 된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동등원칙의 발상은 계량적으로 도덕적인 문제로 다뤄지는 게 더욱 윤리적이지 아닐까 생각한다. 여기에는 그 일을 성취하기에 충분한 환경, 권한이 주어졌는지 하는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느 기업의 사장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 목적에 필요한 각종 기구 및 원자재를 구입하고 그 일을 담당할 직원 고용에 대한 임무까지 담당 부사장에게 맡겼다고 하자. 이때 그 부사장은 이 업무를 완성할 수 있는 충분한 재량권이 주어지지 않는 한 과업을 완전히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관리자들은 흔히 부하들이 임무수행에 필요한 권한을 확실히 갖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그 일에 대해 그들에게 책임을 지우려고 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공정하지 못하다. 때로는 충분한 권한이 위임됐지만 그것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우가 종종 있다. 분명히 이런 경우 그 조직의 관리 및 통제의 잘못에 연유한 것일 뿐 권한과 책임의 동등의 원칙과는 별 관련이 없다고 본다.

요사이 우리사회는 실제적으로 권한과 책임한계가 불분명하거나, 분명한데도 흔히 말하는 목소리가 큰사람, 떼를 잘 쓰는 사람, 떼법을 즐기는 사람에 의해 권한과 책임의 원칙은 무너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회는 혼탁해지고 누구의 말이 맞는지 자세한 내용을 모르는 사람들은 어리둥절해 하고, 유언비어가 진실보다 더 날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 남이야 어떻든 자기 생각만 옳다고 밀어붙이기 식으로 나가면 다수결의 의사결정은 누가할 것인가? 우리 모두 권한과 책임이 똑같이 이뤄질 수 있는 공정사회의 일원이 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