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한이 지나고 대한이 가까워지자 정말 추운 겨울이 왔다. ‘이래야 우리나라의 겨울이지’ 하는 생각에 기분이 좋아진다. 한참 추워지는 동안인데도 계절을 잊고 꽃을 피웠다가 금방 시든 진달래도 개나리도 보인다. 회양목도 수시로 계절을 잊는다. 정말로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 필자의 집 근처에 심어놓은 영산홍은 지금이 여름인양 잎을 한가득 달고 있다. 언제까지 그럴지 두고 볼 생각이다.

겨울의 숲은 갈색이다. 산행을 하다가 선명한 주황색 귤껍질을 발견하지만 않는다면 여러 농도의 갈색을 감상하는 것도 기분 좋은 경험이다. 거기에 흰 눈까지 내려준다면 또 다른 풍성한 숲을 만나겠지. 가끔 바닥에서 초록색을 발견하기도 한다. 맥문동, 별꽃, 애기똥풀, 고사리 종류 등 이년생이나 다년생 초본들은 겨울을 잎과 함께 나는 경우가 흔하다. 많은 경우 추위를 이기기 위해 붉은 색을 띈다.

대충 다른 나무에 걸쳐 있는 듯 보이는 인동도 겨울을 잎과 함께 보내는 덩굴성 나무이다. 낙엽 밑에 깔려 있거나 다른 식물에 덮여있는 잎은 짙은 초록색이고, 밖으로 드러나 추위를 고스란히 견디는 잎은 짙은 자주색이다. 따뜻한 남부지방에선 ‘상록(늘푸른)’이지만 중부 이상에선 잎을 모두 떨구기도 하고 대부분 붉은 잎을 달고 있기 때문인지 식물도감에는 ‘반상록’이라고 쓰여 있다. 잎 가장자리가 돌돌 말려 있는 것이 겨울잠을 자는 애벌레처럼 보인다. 나름 견디기 힘들 것이다. 그래도 잎을 일년 쓰고 버리는 것보다 이듬해 다시 쓰는 것이 더 효과적인가 보다. 이렇게 잎을 달고 겨울을 나니 이름도 ‘겨울을 참고 견디다’는 뜻의 인동(忍冬)이다. 주변에 흔하게 자라는 식물이므로 겨울 숲에 갔다면 바로 알 수 있다.

잎이 겨울을 대표하는 특징을 가졌다면 여름에 피는 꽃은 참으로 화려하다. 꽃잎이 다섯 갈래로 잘게 갈라지고, 꽃잎 밖까지 긴 수술이 튀어나와 있다. 꽃송이가 잎이 나는 마디마다 나기 때문에 무리지어 있는 꽃을 보게 된다. 꽃색이 처음엔 희었다가 수정 후엔 노랗게 변해서 ‘금은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꼭 두 가지 색의 꽃이 함께 피는 것처럼 보인다. 이름이 참으로 적절하다. 한의학에서 금은화는 많은 효능이 있다고 하는데, 2003년 발병한 ‘사스’의 치료제로 쓰이기도 했다. 인동을 우린 물에 목욕을 하면 피부병이 낫고 양칫물로 사용하면 구내염이나 인후염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피로할 때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사람들에겐 인동이 좋은 약이 되겠다.

남도지방에선 인동 꽃을 넣어 빚은 술이 유명하다고 한다. 처음 인동을 술에 넣은 것도 인동의 좋은 향과 약효 때문이었을 것이다. 인동을 넣은 술에 홍어삼합을 생각하니 갑자기 입맛도 돌고 건강해지는 느낌이다. 오포늪으로 유명한 창녕에선 항생제 대신 천연항생물질을 함유한 인동을 먹인 한우를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 병원에 가면 거의 항생제를 처방받는 우리나라 아이들에게 항생제를 쓰지 않은 한우를 먹일 수 있다는 것만큼 좋은 소식도 없겠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