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잔은 다른 땅이름들처럼 쉽게 만날 수 있는 마을이름이다. 인천이나 안산의 고잔동이 유명한데 한자로는 모두 고잔(古棧)으로 쓴다. 당연히 ‘오래된 잔교’와 같은 지명풀이가 뒤따르게 된다. 그러나 많은 곳에서는 ‘곶의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풀이하는 경우가 많다. 고잔이라고 부르는 마을들이 곶(串)의 안쪽이나 곶(串)에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자로 어떤 표기를 하든 위와 같은 풀이는 정확한 설명이 된다.

고잔은 곶의 안>곶이안>고지안>고잔으로 변화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대부분의 우리말 땅이름이 그러하듯이 고잔도 여러 가지 발음으로 변화돼 나타나는데 꽃잔이나 꽃안, 고장, 꼬잔, 꼬장 등으로 발음이 경화되기도 하고 더러 고안으로 순화되기도 한다. 또 뒤에 골이나 들과 같은 낱말이 더 붙기도 한다.

용인 관내에는 처인구 백암면 고안리에 고안이 있고, 원삼면 고당리에도 고안이 있다. 또 원삼면 독성리의 꼬쟁이골이나 두창리 골안마을 서남쪽에 있는 쌍꼬챙이골, 그리고 죽능리의 꼬쟁이골과 고장지도 고잔에서 변화된 지명으로 보인다.

고잔은 경음화하면 꼬잔이 된다. 듣는 이에 따라서는 꽃잔이나 꽃안으로 들리기도 한다. 여기서 꽃 화(花)자를 이용한 표기가 나타나게 된다. 화내(花內)와 같은 한자 표기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 고장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고잔골이 변해 고장골이 되고 다시 ‘-골’이 떨어져나간 지명이다. 고장말이나 고장골, 고장배기와 같은 파생지명을 낳는다.

고장은 경음화되면 꼬장이 된다. 위에 있는 꼬쟁이골은 꼬장이가 변해 꼬쟁이가 된 것인데 꼬챙이는 꼬장이가 더욱 경음화된 형태이다. 고잔이 꼬장이나 꼬쟁이 될 경우 대부분의 한자표기는 꽃 화(花)자가 많이 등장한다. 땅이름 머리의 ‘꼬-’를 대부분 꽃으로 인식하기 때문인데 이에 따라 지명 유래가 달라짐은 물론이다.

원삼면 죽능리의 꼬쟁이골은 둥지박물관 앞에 있다. 지금은 폐교된 청룡초등학교 옆으로 올라가면 왼편 골짜기 입구에 원불교가 운영하는 둥지청소년수련원이 나온다. 다시 조금 더 올라가면 역시 왼편으로 둥지박물관이 있다. 위에서 보면 둥지박물관 골짜기와 둥지청소년수련원 골자기 사이에 작은 능선이 뻗어 나와 있는데 그 앞의 골짜기가 꼬쟁이골이다. 위에서 보면 작은 곶(串)이 뻗어있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따라서 꼬쟁이나 꼬챙이 또는 꽃과 관련된 지명이 아니고 곶(串)에서 비롯된 지명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고장지는 어현마을 서쪽에 있는 능선이이다. 산 능선에 고장지라는 지명이 붙은 것으로 봐서 이것도 ‘곶’의 변음임이 확실하다. 곶안이 고장으로 변화해 생긴 지명인 것이다. 따라서 고장지는 ‘곶의 안쪽에 있는 능선’ 정도의 뜻을 가진다. 실제 어현마을에서 고장지는 고개를 가리키는데 작은 능선을 넘어가는 고개이다. 이를 봐도 고장지가 곶(串)에서 비롯된 지명임이 확인되는 것이다.

<조선지지자료>에는 모현면 모산에 가정자평(柯亭子坪)이, 원삼면 후평리에 고창곡(庫倉谷)이 있는 것으로 기록돼 있다. 아래 우리말 땅이름이 없기 때문에 본래 지명을 알기 어려우나 본래 꼬장이나 꼬쟁이와 가까운 지명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용인에는 고잔이라는 지명은 없지만 고잔과 관련 있는 땅이름이 여기저기 있음을 알 수 있고, 땅이름의 발상이 같은 것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하는 것이라 하겠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