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전문가들은 미국의 연방기금 금리가 2015년 12월 첫 번째 인상에 이어 2016년 12월에 두 번째 인상되고, 2017년에는 3차례 인상돼 연말에 1.5%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2017년 말에는 1.25%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보다 미국 연방기금금리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응해 한국은행은 2018년 초 기준금리를 인상해 한-미 금리역전 현상을 막게 될 것으로 본다.

미국경제가 좋아져서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다른 나라들은 미국과 같이 금리를 올릴 것인지, 아니면 국내 여건을 감안해 미국과 다른 길을 갈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국내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면 주저할 필요 없이 금리를 올리면 되겠지만, 국내 경제가 불황이라면 고민은 깊어진다. 금리를 동결해 미국보다 낮게 유지하면 국내 경제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고,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리면 자본유출 우려는 줄어들겠지만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유럽과 일본은 국제결제통화를 갖고 있어 자본유출에 대해 큰 우려를 하지 않는 국가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미국이 금리를 올려도 자국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국제결제통화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미국보다 금리가 낮아졌을 때 나타날 자본 유출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

자본 유출을 방치하면 환율이 크게 오를 것인데, 경상수지 흑자가 많은 한국이 통화가치 절하를 조장한다고 여겨 미국 재무부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위험이 높다. 그렇다고 한국은행이 외환보유액을 줄여가면서 자본 유출을 충당하다가는 국가신용등급이 낮아질 수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응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없다. 따라서 한국의 정책당국은 국내 경제와 자본 유출이라는 두 가지 걱정거리 중 하나만 겨냥한 정책을 사용하기보다 양쪽을 모두 감안해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즉 미국이 금리를 올려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역전되는 연말까지는 국내 경제를 감안해 계속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금리가 역전되고 나면 자본 유출 추이를 지켜보면서 뒤따라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채권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시기에 미국의 장기 금리가 세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고 본다. 먼저 연방기금금리가 첫 번째 인상되는 날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금리 인상 시기 장기 금리가 등락하게 될 기준선이고, 두 번째 금리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느리게 진행되면 장기 금리가 그 기준선을 하회하고 반대로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면 장기 금리가 기준선을 상회하며, 세 번째 연방기금금리의 인상이 끝나면 연방기금금리와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같아진다.

과거의 패턴에서 유추해보면, 2017년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2.3%를 기준선으로 하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진다는 점을 감안해 2.3%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2017년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평균적으로 2.3~2.5% 수준일 것으로 본다. 채권시장이 연방기금금리의 인상 목표치를 상향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의 인프라투자가 확대되면서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기는 있지만, 트럼프 당선자의 인프라투자 공약이 실행되려면 의회에서 논의돼야 할 것들이 많아서 1년 이상 준비기간이 필요할 것이다. 또 실업률이 4.9%로 낮고 GDP 성장률도 낮은 상황이 아니어서 굳이 취임 초기에 인프라투자를 확대해야 할 이유가 없다.

일본은 낮은 경제성장률과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고, 유럽은 경제성장이 집값 상승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시장금리 상승을 막을 것이다. 일본중앙은행(BOJ)은 10년 만기 국채금리를 0% 수준에서 유지하는 정책을 계속 쓰고, ECB는 채권시장이 불안할 때 국채를 사서 금리를 안정시키기 위한 국채매입 프로그램을 만들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도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한국은행과 정부가 국채 매입과 유동성 공급 등 채권시장 안정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3년 만기 국채금리는 연평균 1.5~1.7%,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2.0~2.3%로 전망한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