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명한 식견과 뛰어난 시문으로 세상을 논했던 여성 문사”

벼슬하는 선비들 조정에 가득하나, 시국 풀 재주는 왜 그리 부족한가

조선시대의 여성 가운데 용인과 인연을 맺고 있는 대표적 인물을 든다면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 한양 조씨(漢陽趙氏 1609~1669),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 등을 꼽을 수 있다. 허난설헌은 뛰어난 시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태교신기'의 저자 사주당 이씨는 경기도의 여성실학자로 부각되며 최근 학계와 한국여성단체, 언론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양 조씨는 서파 오도일(吳道一)의 어머니로 당대 여성 문사로 추숭된 ‘큰 여성’이다. 그럼에도 아직은 널리 알려지지 못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용인의 큰 여성 한양 조씨의 삶을 조명하고자 한다.

오도일 영정

학문에 재능을 보였던 어린 시절

한양 조씨는 광해군 1년(1609) 8월 29일 아버지 의빈도사(儀賓都事) 간(幹)과 어머니 청송 심씨(靑松 沈氏)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문장에 뛰어나 동인삼학사(東人三學士)라 불린 서파 오도일(吳道一 1645∼1703)의 어머니이다.

특이한 자질을 타고나 어린 시절부터 행동거지가 평범하지 않았다. 여섯 살 때에 어머니 심씨가 돌아가신 후 서모의 손에 길러졌다. 성장이 굳세고 조급하여,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있으면 별안간 외치고 울어대면서 먹지도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스스로 반성하면서, “나는 이미 의지할 어머니도 여의었는데, 화가 치민다고 먹지 않은들 어느 누가 내가 잘한다고 근심스럽게 여겨줄 것인가. 단지 나에게 손해만 있을 뿐이구나!”하고는 이후부터 화가 치미는 일이 있더라도 가슴에 삼키고 참아내며 화내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일화가 전한다.

친정 오라버니인 교리공(校理公) 조중려(趙重呂 1603~1650)는 젊은 시절에 학문에 힘쓰며 밤낮으로 책을 읽었다. 이 때 7~8세 가량이었던 한양 조씨가 관심을 가지며 교리공에게 글자를 물었다. 교리공은 여자는 문자를 배울 필요가 없다고 꾸짖으며 말해 주지 않았다. 그러나 한양 조씨가 몰래 글을 깨우쳐 암송하자 집안 사람들이 기특하게 여겼다고 한다.

이에 시험 삼아 「사략(史略)」을 가르쳐주자 춘추전국시대를 벗어난 역사까지도 익혀 나갔다. 그 나머지는 가르쳐 주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깨달아 막히는 곳이 없었다. 14∼15세 때에는 외가에 가서 여러 외삼촌들과 더불어 시를 읊었는데, 단연 빼어났다.

서파집

"우리 며느리는 사군자"

한양 조씨는 22세에 종친부 전참 오달천(吳達天 1598-1648)과 혼인하였다. 계실(繼室)로  해주 오씨 가문에 시집간 한양조씨는 시댁 식구들에게 예를 지키며 어긋나는 일이 없었다. 시아버지(추탄 오윤겸 1559 ~1636)에게는 정성과 공경의 마음을 다하여 섬겼다.

또 아래 사람들을 관대하고 자애롭게 대했다. 전부인 능성 구씨가 낳은 도종과 도륭 두 아들을 자신이 낳은 아들과 아무런 차이 없이 보살폈다. 시동서와 첩들 사이에서도 초연하게 처신하였다.

시아버지 추탄공은 한양 조씨를 “우리 며느리는 사군자로다”라고 남에게 항상 칭찬했다. 남편 오달천이 여러 고을의 원님을 역임했는데, 거쳐 갔던 고을의 관속이나 여종들까지도 조씨 부인을 매우 그리워하면서 잊지 못했다 한다. 부인의 성격이나 기질이 화평했고, 사람을 대접하되 귀천이 없게 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환심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인조 25년(1647) 겨울에 남편 오달천이 충청도 면천군 현령으로 있을 당시 병을 얻어 아산군 신창에 있는 임시거처로 갔다. 그러나 병환이 점점 깊어져 다음 해인 인조 26년(1648) 정월 초하룻날에 세상을 하직하였다. 당시 한양 조씨의 나이 40세였다. 홍성 결성(結城)에 있는 농장으로 돌아가 3년 상을 치렀다.

한양 조씨 정부인 추증고신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집안 살림은 더욱 기울었지만 서울로 올라갈 의사는 없었다. 그러나 아들 도일이 총명했기 때문에 가르치지 않을 수가 없어, 효종 2년(1651) 봄에 가족을 이끌고 서울의 옛집으로 돌아왔다.

가난하여 끼니를 해결하기가 어려워도 태연하게 지내며 자식 교육만을 일삼았다. 아들 도일에게는 “나는 이미 하늘같은 남편을 잃었으니 살아 있은들 무엇을 하겠느냐? 그러나 죽지 않는 이유는 네가 있기 때문이다. 네가 만일 스스로 힘쓰지 않는다면 사람이 아니다.”, “남자의 행실은 가정 안에서 이루어지고 명예는 후세에 밝혀진다. 진실로 가정 안의 행실을 닦지 않으면 그 나머지는 볼 것도 없는 것이다. 더구나 너야 과부의 아들로서 더욱 그런 점에 대하여 삼가지 않을 수 없다.”라며 가르쳤다.

나라 걱정을 시로 읊어

한양 조씨가 살던 시기는 나라 사정이 어지러운 때였다. 특히 현종 8년(1667) 봄에 오랜 가뭄이 들어 백성들의 생활은 극도로 어려워졌다. 평소 역사책을 좋아해 동서고금의 역사에도 밝았지만 시국의 어려움을 근심하고, 잘잘못에 대해 분개하는 마음을 숨기지 않았다.
이같은 자신의 마음을 「기민탄(飢民歎)」이란 시에 담아 남겼다.

곡식 값이 금값처럼 비싸구나
불쌍한 백성들 누구에게 의지하리.
벼슬하는 선비들 조정에 가득하나
시국 풀 재주는 왜 그리 부족한가.
어리석은 아낙네 헤어림이 어긋나는지
안민의 계책 보지 못한다오.
깊은 밤에 이런 생각 하다 보면
탄식하다 괜스레 울음소리 삼킨다네.

穀價貴如金, 蒼生竟何賴.
士類盈朝廷, 豈乏匡時才.
遇婦錯料事, 不見安民策
中夜念及此, 歎息空呑聲.

백성의 고난에 대한 안타까움과 무능한 조정에 대한 질타와 비난을 담은 시문이다. 한양 조씨는 이같은 시를 틈틈이 지었다. 오라버니 조중려는 “우리 누이가 남자가 되어 제대로 학업에 전념했다면 당연히 우리 나라 명문장가들의 뒤에는 있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평하였다.

한양 조씨는 현종 10년(1669) 4월 그믐날에 각기병을 얻어 7개월의 투병 끝에 같은 해 10월 4일에 세상을 떠났다. 당시 그녀의 나이 61세였다. 숙종 7년(1681년) 정부인에 추증되었다.

여성에게 학문과 사회적 진출의 기회를 허락하지 않았던 시대에 태어나 자신의 뜻을 세상에 펼 수는 없었지만 현모양처로서의 도리를 다하면서도 학문에 정진하고 자신의 마음을 시문에 담기를 주저하지 않았던 한양 조씨는 “고명한 식견과 함께 뛰어난 시문으로 세상을 논했던 여성 문사”라는 평을 받았다.

시대적 한계 속에서도 주어진 환경에 최선을 다했던 한양 조씨의 삶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큰 가르침과 감동을 준다.

서은선(강남대 용인학 강사)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