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이름은 공통점이 많다. 사람들이 보는 눈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지명은 용인 내에만 독창적이고 유일하게 있는 게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는 것들이다. 우리말 땅이름을 한자로 옮길 때도 같은 관점이나 발상에서 한자를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다.

큰골을 덕곡(德谷)으로 쓰거나 돌꼬지를 석화지(石花池)로 쓰는 것이 이런 예에 속한다. 또 다리꼴은 달 월(月)자를 써서 월곡(月谷)으로 쓰는 것도 일반적인 현상인데, 이러한 방식의 한자 지명 역시 전국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다.

한자화 된 지명의 역사가 오래되면 본래의 의미가 무엇인지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전국적으로 흔하게 분포하는 지명인 경우, 땅이름에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의미가 있는 게 확실하지만 풀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승죽골이 이에 해당되는 지명이다.

승죽골은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에도 있고, 지금은 수원으로 편입된 이의동에도 있다. 승죽골은 성죽골이나 성주골, 성주동이나 성주곡 등으로 다양하게 발음되는데 인터넷을 통해 검색해보면 수많은 성주골이나 승죽골, 성죽골이나 성지골을 만날 수 있다.

지명이 성주골인 경우 인근의 성주봉(聖住峰)이나 성주산 아래 있기 때문에 성주골이라고 했다는 풀이가 많다. 이 경우 성주사(聖住寺)라는 이름의 절이 있어서 뒷산이 성주산이 되고 골짜기 이름으로까지 옮겨간 경우가 된다. 심지어는 성군이 나타나기를 기원해서 붙인 이름이라는 유래도 있고, 무당이 성주굿을 하던 곳이라거나 성주(城主)가 살았다는 다소 거리가 먼 유래가 있는 곳도 있다.

성죽골이나 승죽골처럼 가운데 ‘-죽-’이 들어가면 대부분 대나무와 연관되는 지명이 된다. 지금은 수원으로 넘어간 이의동 성죽골이 그런데 한자로 성죽곡(成竹谷)이라고 쓴다. 조리를 만드는 대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지금도 마을 부근에는 많은 대나무가 자생하고 있다고 한다.

승죽골은 본래 승지(勝地)골이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후에 승지골이 승직골>승죽골>성죽골로 발음이 변해 성죽골이 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승지바위가 있다고 해서 지명 풀이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원삼면의 승죽골은 성주사 같은 절이 있는 곳도 아니다. 절터도 없으며 성주산이나 성주봉이라는 산도 없다. 그러나 산죽이라고 부르는 작은 대나무가 있을 뿐이다. 용인지역은 추위 때문에 대나무가 자생하지 않는 지역이다. 최근에는 대나무를 심어도 죽지 않고 뿌리를 내리긴 하지만 30여년 전만해도 추위 때문에 살리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용인에서 원삼지역은 감나무도 많고 날씨도 따뜻한 편이다. 특히 남향한 산에는 여기저기 산죽이 무성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조릿대라고도 부른다.

채소는 본래 소채(蔬菜)라고 했다. 상호간에를 북한에서는 호상(互相)간에 라고 하는데 한자의 고향인 중국에서는 소채라 하고 호상간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죽성골보다 성죽골이 훨씬 부르기 편리하지 않을까? 그래서 성죽(成竹)이나 승죽(勝竹)으로 쓰는 골짜기가 아니었을까?

다소 마음에 들진 않고 혹시 또 다른 자의적인 풀이로 볼 수도 있지만 그래도 가장 가까운 풀이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 원삼면 승죽골이 이런 풀이에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