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양화

말머리는 처인구 백암면 근곡리에 있는 자연마을 이름이다. 한자로는 마두(馬頭)라고 쓰는데 우리말 땅이름 말머리라는 뜻을 옮긴 것이다. 『내고장 용인 지명지지』 편에 수록돼 있는 마을 유래를 보면, 근곡리에 속한 마을로 말머리라 불리며 마을에 있는 산의 형태가 말 머리 모양으로 생겨서 말머리라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해 마두, 마두리라 했다고 돼 있다.

말머리는 동서로 넓은 들을 끼고 있으며 남쪽에는 종평, 즉 마루뜰마을이 있다. 서북쪽으로는 수정산이 솟아 있는데 수정산 줄기가 동남쪽으로 흘러내려 능선 끝이 멈춘 곳에 말머리마을이 있다.

말머리는 ‘말+머리’가 된다. 말은 우리말로 말[馬]로 생각해 마을 지형이 말 머리모양을 닮았다는 유래가 생겼다. 전국적으로 대부분의 말머리가 같은 유래를 가지고 있으며 한자로 마두로 쓰는 것도 거의 같다. 마치 말미라 불리는 마을이 대부분 마산(馬山)으로 옮기고 말과 관련지어 지명유래를 설명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모현면 일산리 말미도 마산으로 쓰며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라고 설명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우연히 마을의 입지가 말 머리를 닮을 수도 있다. 하지만 말이 아닌 다른 것에서 유래를 찾는 게 훨씬 합리적일 수 있는데 말머리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말은 몰의 변음이다. 몰은 산을 나타내는 말이다. 몰머리가 부르기 쉽게 말머리로 바뀐 것인데 ‘산+머리’의 뜻이 되는 것이다. 머리는 꼭대기나 끝을 나타내는 말이다. 앞이나 위를 나타내는 말이기도 한데 ‘밥상머리’처럼 사물의 한쪽 옆이나 가장자리를 가리킬 때도 머리가 쓰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산자락이 들을 향해 튀어나온 모퉁이라고 풀이할 수 있는데, 이처럼 머리가 지명에 나타날 때는 대부분 능선의 끝이나 산모퉁이에 붙는 경우가 많다. 즉 산모롱이나 능모랭이와 어느 정도 같은 뜻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가까이 있는 여주나 평택, 오산 등 전국에 말머리가 들어가는 지역을 찾아보니 모두 들 안으로 뻗어 내린 능선 끝에 붙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를 보면 말머리는 말의 머리가 아니라 산의 머리임이 분명해지는 것이다.

1895년에 간행된 「죽산부읍지」 근삼면 조에는 21개나 되는 마을이 수록돼 있는데 지금은 사라진 마을까지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마을의 호수(戶數)는 물론 남녀 인구까지 자세히 수록돼 있는데 마두리(馬頭里)는 보이지 않는다. 이를 보면 마두리는 가장 가까운 종평과 한 마을을 이루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비교적 최근에 자연마을로 독립한 것으로 보인다.

마두리와 비슷한 지명으로 비두리가 있다. 같은 백암면 근창리에 있는 마을로 비머리라고 하는데, 마을 머리(위쪽)에 비석이 하나 있어서 비머리라 하던 것을 한자로 표기해 비두리(碑頭里)라 했다. 그러나 지금은 비석이 전해지지 않는다고 하며 마을이 성장하면서 상비두와 하비두로 나뉘어졌다.

비는 비석을 가리키는 것이 분명한데 지금은 사리지고 없기 때문에 지명풀이의 신빙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타 지역의 유사한 지명을 비교해 보더라도 ‘비가 서있던 마을 끝’이 확실한 것 같다. 비두리와 비교해보면 위의 마두리 지명풀이가 한결 확실해진다 하겠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