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상 삼국의 하나인 촉나라 제갈량이 대군을 이끌고 성도를 출발해 한중을 석권하고 기산으로 진출해서 위나라 군사를 크게 무찔렀다. 그러나 조조가 급파한 위나라의 명장 ‘사마의’가 20만 대군으로 기산 산야에 부채꼴의 진을 치고 제갈량의 군사와 대치하는데, 천하의 제갈량이었지만 상대가 지략이 뛰어난 사마의라 함부로 전면전을 벌일 수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그때 ‘마속’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조조의 군대를 무찌르겠다고 자원하게 된다. 그러나 노련한 사마의와 대결하기에는 아직 어렸고 그래서 제갈량이 주저하자 마속은 거듭 간청하기를 “만약 이 전투에서 패하면 저는 물론 일가권속까지 참형을 당해도 결코 원망치 않겠다”고 서약하고 출정을 했지만 그 결과는 처참하게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그런데 제갈량은 당시 아무런 책임을 묻지 않다가 갑자기 이듬해 마속을 처형하고 만다. 제갈량의 일급 참모들은 ‘마속같은 유능한 장수를 잃는 것은 나라의 손실’이라고 설득했으나 제갈량은 듣지 않았다. 더군다나 이미 전쟁이 끝났는데 너무 가혹한 처사라고 만류했는데도 “아끼는 사람일수록 가차없이 처단해 대의를 바로 잡지 않으면 나라의 기강은 무너지는 법이다”라며 참형으로 다스렸다.

특히 자신과 문경지교를 맺은 ‘마량’의 동생으로 평소 제갈량이 아끼는 장수였지만 대의를 위해서는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소신을 굽히지 않고 참형을 시켰던 것이다. 마속이 형장으로 끌려가자 제갈량은 소맷자락으로 얼굴을 가리고 마룻바닥에 엎드려 대성통곡을 했다고 한다.

한국인은 정이 많은 민족이라고 한다. 그러기에 인맥, 혈맥이 거미줄처럼 엉켜 공공의 일과 사사로운 일이 모호하고 ‘이현령비현령’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지금 우리 사회의 혼탁함도 따지고 보면 ‘읍참마속’이 없기 때문에 생겨나는 파행이라고 할 수 있다.

지도층에 있는 분들이 살신성인하는 심정으로 읍참마속의 결연한 의지를 가질 때 이 사회는 정화되고 변화가 올 것이다. 그런데도 여전히 자기 사람 심기, 인정에 끌려 잘못을 눈감아 주기, 자격 없는 자에게 능력 이상의 자리 보존해주기 등 공사를 구별 못하니 이 사회가 표류하고 있는 것이다.

내 사람이라고 해서 무조건 끌어안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 버릴 것은 확실히 버려야 한다. 고름은 살이 아니다. 적당히 봉합하고 가는 것은 또 다른 분열을 낳는다. 이 사회가 새로워지기 위해서는 화합보다 먼저 읍참마속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겉으로는 공평하게 탕평책을 쓴다 했건만 그걸 믿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

결국은 선거에 동원되거나 줄서기를 잘한 사람들이 대거 기용되고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은 뒷전으로 밀려 절치부심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 자신의 이름을 만방에 떨치고 싶어 하는 욕망이야 누구에게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지나친 공명심은 화를 부른다.

공자는 공명심을 도둑질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물건을 훔치는 것만을 도둑질이라고 하지 않았다. 정치를 하는 자가 법을 만들어 백성들을 유익하게 다스리지 못하고, 관리가 관리 노릇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그것이 바로 도둑질이라고 했다. 정치하는 사람은 백성의 원한을 사면 그것이 곧 도둑놈이 되는 것이고, 자신의 위치를 알지 못하고 공명심에 사로잡히는 것은 곧 나라를 훔치는 것이며 그것이 도둑질이라고 했다.

요즘 썩은 생선으로 요리를 하겠다고 나서는 사람들이 있다. 부패한 사람이 개혁자로 자처하고, 오랫동안 지탄 받아온 인물이 정론직필 하겠다고 설쳐댄다. 썩은 생선으로 어떤 요리를 만들어 낼지가 궁금하다. 썩은 것과 발효된 것도 구별 못하는 요리사가 칼을 들고 덤벙대고 있다. 이 나라 이 사회가 하도 혼란스러워서 한 번 해보는 소리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