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는 매우 역동적인 도시 중 한 곳이다. 십수 년째 매년 1만명이 넘는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그들이 생활할 수 있는 주거공간도, 문화·교육 시설 개발도 당연히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 변방에 머물던 용인시가 전국 최대 지자체로 발돋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집단 민원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가 정책적으로 각종 규제를 완화하자 용인시는 그야말로 벌집 쑤셔놓은 듯하다. 용인시 행정에 대한 불만은 집단 민원 제기 차원을 넘어 사회적 문제로 되고 있다는 ‘불편한 진실’도 이제는 인정해야 하는 처지다.

용인에서 가장 심각한 상황에 처한 곳은 기흥구다. 영덕동의 경우 1000세대가 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 곳곳에 주택공사가 한창인가하면 학교와 지척에 있는 뒷산에서는 발파가 이뤄지고 있다. 진입로가 한 곳 뿐인 이곳은 각종 개발 공사로 이미 대형공사 차량이 들락거린다.

주민들이 쉽게 찾아 휴식을 취했던 마을 언저리 동산은 곳곳이 벌목된 채 방치됐다. 1년 넘게 사업시행자와 갈등을 빚고 있는 지곡동 콘크리트 혼화제 연구소, 최근 들어 주민들의 격한 반대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서농동주민센터 내 도서관 건립, 성지초 기흥 역세권 주변 이전 등 사례를 다 들지 못할 정도다.  

수십 년 동안 각종 규제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던 처인구 역시 최근 개발 관련 규제 완화로 곳곳에서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아곡도시개발 사업과 관련해 용인시가 남사면 일대에 추진 중인 하수처리장을 두고 주민들은 탄원서까지 내가며 반대를 하고 있다. 물 밀 듯 건립되고 있는 공동주택으로 사생활 뿐 아니라 각종 권리에 침해를 받고 있다는 집단 민원도 끊이질 않는다.

그나마 개발이 정점을 찍은 수지구는 상황이 덜한 편이지만 이곳 역시 택지지구 내 단독주택 용지 변경 등으로 인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시민들은 하소연할 때조차 없는 실정이다. 행정기관을 찾아 불편을 호소해도 돌아오는 답변은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시의원들도 함께 문제를 해결해보자는 결의를 보이지만 현실은 만만치 않다. 일상을 접고 대규모 집회를 열어도 논의해보겠다는 통상적인 답변만 들릴 뿐 근본적인 대안은 내지 못하는 참담한 현실이다.

누굴 위한 ‘규제 완화’인지 따지지 않을 수 없다. 일상생활에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는 주민들은 ‘용인시민으로 살기 힘겹다’고 하소연하고 있지만 용인시는 그저 쩔쩔매고 있는 모양새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