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지역 내에는 대략 1만5000여 명의 이주노동자가 거주하며 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중 산업연수생은 144개 업체 576명(2002년 5월 현재)으로 그 외에는 거의 모두 불법체류 신분으로 일하고 있지만 지난 2002년 법무부 지침에 따라 그 중 50% 가량이 불법체류자 자진신고를 통해 8월까지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나머지는 여전히 불법체류 신분이며 8월 이후 이들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제는 어떻게 될지 짐작할 수 없다.

더욱이 정부가 산업연수생제도를 폐지하고 고용허가제 도입을 확정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했지만 한나라당, 중소기협중앙회 등에서 고용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반대의사를 나타내는 등 거센 반발에 부딪히고 있으며 입법안을 낸 민주당 일각에서 ‘연수제를 철폐하지 않고 고용허가제를 몇 개 업종에 시범실시 해 둘을 비교해보겠다’는 방안을 내놓는 등 어지러운 양상을 보이고 있어 외국인 노동자의 앞날은 불투명한 상태다.

공단이 형성되지 않은 용인의 경우 소규모의 공장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는 것이 특징. 그 중에서 이동면 남사면 양지면 포곡면 지역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주노동자들의 말에 따르면 가구공장이 밀집된 어정(구성읍 중리)에 2000여 명, 수지가구공단(동천동)에는 3000여 명의 이주노동자가 일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은 주로 제조업 또는 건설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주 노동자 대부분은 중국동포이고 나머지는 몽골인이다. 특히 재중동포 여성의 경우에는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주노동자들의 분포에 비해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자원이 거의 없었던 곳이 용인 이었다. 용인에 이주노동자 인권센터가 1년 전 문을 열면서 이주노동자들에게 오아시스 같은 존재로 자리잡았다. 한국CLC(Christian Life Community) 회원인 이영희 소장을 비롯, 두명의 실무자가 발로 뛰는 이곳은 이제 용인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들에게 고향집 같은 곳이다.

첫 돌을 맞은 이영희 소장은 “용인지역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이주노동자인권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문화·피부색·언어의 차이를 넘어 이주노동자와 ‘이웃’으로 함께 하려는 마음이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센터 활동에 함께 하고 있는 후원회원, 자원활동가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용인지역 보다 서울, 성남 등 멀리서 함께 하는 이들이 더 많은 실정이며 또한 이주노동자와 지역주민들이 만나고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는 공간 및 재정 마련도 요구되고 있다.

또 외국인 노동자는 돈을 매개로 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현재 대부분의 이주노동자 신분이 ‘불법체류자’이기 때문에 작고 큰 문제가 발생하면이것이 인권침해로 번져 결국 서로에 대해 불신하고 편견을 더 강하게 만든다고 이 소장은 덧붙였다.

이주노동자인권센터는 이러한 불신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다. 노동자들에게 글을 가르쳐 언어의 장벽을 깨는데 주력했으며 이들에게 한국의 정을 느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처음에는 상담을 통해 지원하고 받았던 이주노동자들과의 관계가 시간이 지나고 다양한 활동을 함께 하게 되면서 서로의 마음을 나누며 신뢰를 쌓게되고 그것이 서로에게 힘이 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때, 그리고 그런 과정 안에서 자원활동, 후원 등으로 함께 하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는 이 소장의 메시지는 이주노동자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네팔 노동자 칸씨(42)는 “10년 전 보다 많이 좋아졌지만 나와 같은 노동자가 못 사는 나라에서 왔더라도 인간적으로 대해줬으면 좋겠다”며 “나에게 익숙해진 한국의 땅 음식 사람을 난 좋아하고 조만간 돌아가게 되더라도 한국은 내게 계속 그리운 곳, 또 하나의 고향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노동자들이 살아가기 위해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주노동자들을 이웃으로 맞아들이는 지역인의 넉넉한 마음이 아닐까.

<자료제공 ·이주노동자센터>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