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추진중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2단계) 건설 계획이 암초에 걸렸다. 소각시설 설치예정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주민반대는 시당국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된다. 감사원 등에 제출한 탄원서에 의하면 소각시설 건립당시에는 쓰레기매립장으로 홍보하면서 민원소지 약화를 노려 은폐하다가 소각장으로 사업추진 방향을 돌렸다는 것이다. 이에 필요한 환경영향평가는 일부 주민만 참석한 가운데 요식적으로 처리했다는 주장이다. 또 소각시설 시험가동 기간중 악취, 두통, 각종 조류의 이동 등 문제가 잇따르고 있으며 시가 내놓은 주거환경 개선방안은 회유책으로 기만적이라고 말한다.

이에 대해 시는 관련 법규에 제정된 주변지역 지원사업도 주민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해 충분한 인센티브제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아마도 당근정책을 염두해 둔 것으로 이해된다.
환경관련 시설설치는 어느 지역에서나 기피시설로 여겨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들어오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것은 거의 공통적이다. 그렇다보니 대개는 시당국도 주민들의 반발을 당연시 해 공개적이고 투명한 주민의견 수렴과정을 거치기 보단 밀실에서 은밀하게 사업을 추진한다. 한편으론 반대급부를 제공하는 당근책으로 일부 주민을 회유하면서 밀어붙이기 식으로 매듭짓는 경우가 적지않았다. 이런 식이다 보니 생기는 문제가 적지 않다. 주민간의 갈등조장은 물론 밀실처리에 따른 안정성 여부에 대한 의심을 계속될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참으로 답답한 일이다.

객관적으로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른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크게 늘어났다. 따라서 2단계 소각시설을 설치하거나 추가매립지 건설에 따른 부지확보 등이 요구되는 것은 사실이다.
해법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당국이 주민들의 불신을 씻어내고 신뢰를 높이는 것이다. 차제에 슬기로운 해결점을 도출해낸 지역의 사례를 참고하고 연구해 볼만하다. 서울 양천소각장, 소원소각장 등 2곳에선 주민들을 소각장 정식 직원으로 채용해 업무를 감시하고 있다한다. 주민 대책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채용된 이들은 인사권을 주민대책위원회에 두고 있다. 주로 내부감시자 역할로 반입쓰레기를 항상 감시하고 소각로의 직정관리 여부도 살피도록 했다는 거다.
시도 이번만큼은 모든 추진과정을 투명하게 열어놓고 주민들의 마음을 열리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