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가 이제는 생활폐기물에 이어 최대의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용인시도 여기에 발맞춰 쓰레기종량제 실시 이후 97년부터 ‘음식물쓰레기 제로화’를 특수 시책
으로 추진해 왔다. 98년도까지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을 6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사료화와 퇴비
화를 본격 추진했다.

그러나 최근 용인시의 모습을 보면 가장 우선시해야할 감량, 재활용 등은 없이 오로지 소각과 매
립에 의존하는 반환경적인 정책을 보이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와의 전쟁’‘음식물쓰레기 제
로화 시책’을 이제는 옛말이 됐다.

가장 단적인 예로 남사면에 건립하려던 1일 40톤 처리규모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이 그대로 방
치되고 있다. 또 축산농가와 연계한 음식물 처리가 이제는 제일농장 등 비교적 규모가 큰 축산농
가만이 겨우 처리를 하고 있다.

특히 폐기물관리법의 개정으로 감량의무 사업장과 공동주택에 대해 고속발효기 등 감량화기기를
설치토록 의무화하고 있으나 운영비 부담을 이유로 거의 사용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민들도 일반 쓰레기 봉투에 음식물쓰레기를 마구 버려 대부분이 음식물쓰레기가 매립 또는 소
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규격봉투 판매량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실태를 찾을 수 있다. 98년 12월 60만9170장이던 종량제 봉
투가 99년 1월 54만8988장, 2월 50만34장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으며, 3월을 제외하고는 5
월까지 계속 감소했다.

이중 음식물 쓰레기봉투(가로안 20ℓ 음식전용)는 98년 12월 13만4380장(5만9880), 99년 1월 10
만3720장(2만5180), 2월 7만2999장(7340), 3월 10만2440장(7240), 6월 10만7190장(7050)에 그쳤다.

그래서 강화도 ‘환경농업농민회’와 ‘음식물찌꺼기 재활용을 위한 연수구 모임’의 음식물찌꺼
기를 재활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은 오리농법으로 벼농사를 짓고 양계를 이용한 음식물찌
꺼기 재활용을 통해 폐계를 살려 자연유정란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강화도 환경농민회는 아파트단지 주민과 연대해 음식물찌꺼기를 양계 농가에 공급하고, 주
민들은 음식물끼꺼기 수거비용하으로 쓰레기 봉투값보다 저렴한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더욱이
환경농민회는 도농 순환 시스템을 도입, 음식물 찌꺼기 발효사료 회사를 설립, 안정적인 축산사료
생산에 한층 다가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음식물 찌꺼기 재활용 시민운동이라는 도농공동체 운동은 이제 용인시의 부러움을 넘어 선진 농
업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함승태 기자

저작권자 © 용인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